농경이 기본이던 우리나라에서 달(月)은 생명과 풍요로움의 상징으로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중 정월대보름은 한 해를 시작하며 맞는 첫 보름달로 겨울의 묵은 기운을 떨쳐내고 농사지을 준비를 시작하며 풍년을 기원하는 날이다.

옛날에는 대보름을 설처럼 여기기도 했다. 조선후기에 간행된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정월대보름에도 섣달 그믐날과 같이 집안 곳곳에 등불을 켜 놓고 밤을 새우는 풍속이 있었다.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달맞이하는 것을 망월(望月)이라 하며, 먼저 달을 보는 사람이 재수가 좋다”고 했다. 따라서 정월 대보름에 뜨는 보름달에 한 해의 소원을 빌면 그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믿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한(漢)나라 때부터 대보름을 8대 축일의 하나로 하여 중요하게 여겼으며, 일본에서도 소정월(小正月)이라 하여 대보름을 새해의 시작으로 여기기도 하였다고 한다.

이 정월대보름에 먹는 별식을 ‘상원절식(上元節食)’이라 하는데, 정월 14일에 장수를 기원하며 약식 또는 오곡밥을 지어먹고, 다음날인 15일 아침에는 귀밝이술로 이명주를 마시고 부럼을 까서 한 해 동안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축원하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 상원절식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약식은 약밥 또는 약반으로 불리기도 한다. 신라시대 소지왕이 정월대보름날 까마귀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했다 하여 은혜를 갚고자 정월대보름을 까마귀 제삿날로 정하고 잣, 밤, 대추 등 귀한 재료를 넣어 약식을 지어 바치면서 생겨난 풍속이라고 한다.

일반 평민들의 경우 약식의 재료를 구하기 어려워, 대신에 오곡밥을 지어 먹었다고 한다.
오곡밥은 쌀, 보리, 조, 콩, 기장의 다섯 가지 곡식을 넣고 짓는 밥으로 세 집 이상의 것을 먹어야 그 해 운이 좋다고 하여 집집마다 나누어 먹었고 하루에 아홉 끼 밥을 먹어도 좋다고 했다.

다음으로 ‘복쌈’이 있다. 밥을 김이나 취나물, 배춧잎 등에 싸서 먹는 것으로 쌈을 먹으면 복(福)을 쌈 싸듯이 모을 수 있다는 풍습에서 나왔다. 이 복쌈을 여러 개 만들어 그릇에 볏단 쌓듯이 높이 쌓아 성주님께 올린 다음 먹으면 복이 온다고 한다.

또한 ‘진채식(陣菜食)’이라 하여 가을에 호박고지, 박고지, 말린 가지, 말린 버섯, 고사리, 고비, 도라지, 시래기, 고구마 순 등 최소 아홉 가지 나물을 잘 말려두었다가 대보름에 기름에 볶아서 먹었다. 진채식을 먹으면 그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복쌈과 진채식은 새봄을 맞아 겨우내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과 무기질을 보충하여 원기를 북돋아준다는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다.

대보름에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아침부터 술 마시기를 권유받는데 ‘귀밝이술(이명주, 耳明酒)’라 한다. 이 날 데우지 않은 찬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일 년 내내 좋은 소리만 듣게 된다고 한다.

한편 대보름 아침 일찍 밤, 호두, 은행, 잣, 땅콩과 같은 딱딱한 견과류를 깨무는 ‘부럼 깨기’도 한다. 견과류를 깨물 때 나는 ‘딱’하는 소리에 잡귀가 물러난다고 여겨 일 년 동안 무사태평하고 종기나 부스럼 등으로 고생하지 않기를 기원한다.

평안도 의주에서는 부럼 깨기와 유사하게  ‘이굳히 엿’이라는 풍속이 있었는데, 젊은 남녀가 이른 아침에 엿을 씹었다고 한다.

대보름에 견과류를 먹는 것은 액운을 방지하는 의미도 있으나, 항산화영양소인 비타민 E와 불포화지방산을 섭취할 수 있어 겨울동안 저하된 체력을 보충하고, 턱관절과 이빨을 튼튼하게 하며 뇌에 자극을 주어 뇌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니 조상들의 슬기로움에 탄복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 설과 발렌타인데이가 겹쳐 못내 아쉬웠던 젊은이들은 이번 정월대보름을 노려봄 직하다.
신라시대부터 정월대보름은 처녀들이 공식적으로 외출을 허락 받은 날이라고 한다. ‘탑돌이’를 하기 위해서인데 처녀총각이 탑을 돌다가 마음이 통하면 사랑을 나누는 날이었다.

탑돌이 중 마음에 드는 총각을 만났으나 이루어지지 못하여 마음의 병을 얻으면 ‘보름병’으로 불렀다고도 한다. 젊은이들은 이번 대보름에 초콜릿 대신 한 해 동안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부럼’으로 사랑의 고백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 어른들은 이 기회에 자녀에게 아름다운 우리 전통문화를 알려줬으면 한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