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도시민에게 면적, 거리에 제한 없이 농지매입의 기회를 주려고 한다. 그리되면 농지의 도시민투자가 촉발돼 고지가시대가 오게 된다. 농지는 도시민에게는 투자상 기회의 땅, 농민에게는 든든한 재산 버팀목이 된다.

고지가시대의 농민은 알뜰, 기술, 첨단농사에 주력하며 땅지키기와 소득증진에 힘써야 한다.

농지는 전, 답, 과수원, 목장용지를 통칭한다. 농지 즉 밭에서는 곡물, 채소, 꽃, 원예작물, 약초, 뽕나무, 닥나무, 묘목, 관상수, 버섯 등의 작물을 재배하게 된다.
논은 물을 상시적으로 이용 벼, 연, 완골, 미나리 등 식물을 재배, 특히 쌀 생산으로 국민주식을 조달한다.

과수원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 포도, 귤 등 무수한 과수를 집단재배·생산, 인류기호와 건강기능 보완의 식자재 보급터전이 된다.

목장용지에서는 소, 돼지 등 가축과 닭, 오리 등 가금류를 생산해 동물성 단백질 식용품을 얻는다. 한편 목장요지에서는 육류 부산물로 가죽, 모사(毛絲) 등 공업·화장용재까지 열거하기 힘든 많은 생활자재를 얻는다. 그 용도가 다양하고 유익한 농지가 최근 WTO, FTA시행, 무역장벽 해체로 산업적 활용 입지가 한계에 몰리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고령농민의 순조로운 농업은퇴와 젊은 농민의 경쟁력 지원보강을 위한 농지법을 마련중이다. 즉 철옹성처럼 굳건히 지켜오던 농지 소유제한을 풀었다.

도시민도 면적이나 농사 통작거리에 제한없이 5년간 임대조건부로 농지매입의 기회를 주려는 것이다. 도시민이 농지매입 농지은행(농업기반공사)에 맡겨 젊은 농민에게 집단 대리경작케 함으로써 젊은이와 노령 농민 쌍방을 지원, 농업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려 하고 있다.

도시민 임대를 전제로 한 조건부 소유이긴 하지만 도시민의 농지투자가 촉발배 지가상승에 큰 여파가 번지고 있다.

그리고 참여 정부 행정신도시, 기업도 신 혁신도시, S프로젝트, J프로젝트 등 지역균형발전시책 제시 및 시행으로 농지가 만만치 않은 가격으로 상승되고 있다.

DMZ와 연접한 수복지구인 강원 철원. 교통이 불편한 오지임에도 불구, 10만원 이하의 농지 찾기가 힘들다. 농민들은 지가상승을 기대하는 한편 매물을 내놓는 것도 망설이고 있다.

통념적으로 우리 농가는 3ha의 농지를 가져야 최소의 생계유지가 가능하다. 철원에서 이 규모의 농지를 확보하려면 최소 3억원, 목 좋은 곳은 9억원을 가져야 한다.

이제 농지 지가상승으로 고유자산 가치에 상응한 소득창출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성공한 농민은 소득증대를 위해 시대변화에 맞춰 부단한 보완, 변신에 발빠른 대응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소득증대에 힘쓰는 한편 땅지키기에 결의를 다지고 있다.

앞으로 고지가시대에는 지역여건에 부합되는 작목선택에 유의해야 한다. 물류비를 감안해 도심근교는 45일산 채소재배, 오지농촌은 건강보양약초재배 등 알맞은 대응책을 도출해야 한다.

의사는 내과, 안과, 피부과 등 전문의로 나누어 일한다. 농민도 전업농사를 해야한다. 전업농사는 기술축적과 시장인맥 확보에 유리하다.

고지가시대 고소득 농사찾기에 몰두해야 한다. 고소득 농사가 땅지키기의 비결이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