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장세일(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사무총장)

전 세계가 조류독감(국내 공식 명칭은 조류 인플루엔자)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소식이다. 터키, 루마니아에 이어 그리스에까지 조류 독감 바이러스가 상륙, 그동안 이 전염병이 옮겨오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던 유럽연합(EU) 국가들은 ‘올 것이 왔구나’ 하는 두려움에 휩싸여 각국에 비상이 걸렸다고 한다.

게다가 얼마전에는 조류독감 상습 발생지역인 베트남에서 유일한 치료제인 ‘타미플루’에 저항력이 있는 변종 바이러스까지 발견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해 지구촌 모든 사람들이 조류독감 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4일 조류독감 발생 예보를 발령하고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태세를 갖춰나가고 있지만 보다 적극적이고 치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범정부 차원의 대책 있어야
조류독감의 유입과 확산방지를 위해선 농림부의 발생예보도 필요하지만 실제 닭, 오리 등 사육 농가의 철저한 예방대책이 매우 중요하다.

사육 농가들은 조류독감이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위주의 사양관리에 노력해야 하며, 발생 이후를 대비한 전염경로 차단등과 초기 방역 대책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정부는 조류독감 예방과 관련된 각종 사안을 농림부(축산국 담당부서) 혼자서 해결하려들지 말고 해당 부서뿐만 아니라 질병관리본부, 농촌진흥청,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등 농업 관련기관들과의 유기적이고 긴밀한 협력을 이끌어 내야 한다.

농민단체들도 정부에 대한 요구와 비판에 앞서 우리 농업인이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 것인지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할 때다. 만일 조류독감이 우리나라에서도 다시 발생되어 지난해와 같은 피해를 입게 된다면, 국내 가금산업은 더 이상 발전을 기약하기 어렵게 된다.

문제는 조류독감 바이러스 가운데 인체전염이 가능한 고병원성 H5N1 바이러스의 존재다. 그동안 인체에 감염된 사례가 동남아지역에서 보고되긴 했지만 아직 사람과 사람사이에 전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가 생겨났는지에 대해선 확실한 결론이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국민들에게 불필요한 걱정을 끼칠 수 있는 무분별한 언론보도는 자제되어야 한다.

한편으로는 위기를 기회로 삼는다는 말처럼 조류독감 바이러스 차단과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우리만의 자원과 기술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찾아봄직 하다.
국내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김치에 들어있는 ‘류코노스톡 김치아이’라는 유산균을 조류독감에 걸린 닭에게 급여한 결과 일주일만에 대부분 완치됐다는 결과가 나와 있기도 하다. 따라서 중국산 김치의 유입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김치산업계 또한 조류독감에 특효가 될 수 있는 김치의 기능성에 주목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는 길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선정적 보도와 과민반응 없어야
조류독감이 이처럼 전세계적 화두로 떠오른 이유는 H5N1 바이러스가 인간에도 감염되고, 또 변종이 생겨나 인간끼리 옮겨질 경우 걷잡을 수 없는 확산으로 치명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가정이 사람들에게 여과 없이 전달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에 따르면 조류독감은 음식물로는 전염되지 않으며, 바이러스도 섭씨 75℃ 이상의 열에 죽기 때문에 닭고기나 오리고기를 평소처럼 익혀먹는 다면 인체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침소봉대된 정보와 언론의 선정적 보도는 국민의 과민반응을 유도하고 소비심리를 위축시켜 관련 산업과 국가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아직 국내에 발생되지도 않은 조류독감이 애꿎은 농가와 유통 및 가공업계를 죽인다면 넌센스가 아니겠는가?

어쨌거나 조류독감이 발생하면 1차적 피해는 자식 같은 가금류를 살처분해야 하는 농가가 입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 농가가 철저한 방역의식과 만일을 가정한 대응태세를 확고히 갖추는 것이 우선이며, 정부와 당국은 전반적인 질병통제 시스템을 확고히 해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어렵고 힘든 양계관련 농업인들이 이번 조류독감 파동으로 더 큰 어려움을 겪어선 안 되길 바라며, 조류독감의 예방에 정부, 업계, 농가 모두가 힘을 합쳐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춰줄 것을 당부한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