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하성수기를 맞은 마늘가격이 심상찮다. 지난 1일 햇마늘 경매 초매식이 열린 경남 창녕군의 도매시장에선 1kg당 가격이 상품 기준 3,100~3,600원을 기록했다. 작년 5,476~5,670원에 비해 39%나 낮은 가격이다. 급기야 농가들이 생산비 이하에는 팔지 않겠다면서 경매 중단을 선언했다. 마늘가격 하락은 이미 예견됐었다.

수확기인 5~6월에 비가 자주 내려 작황이 좋지 않았고 품질도 크게 떨어져 정부에 대책마련을 요청했다는 것. 하지만 정부는 뒷짐을 졌고, 농가들은 또 거리에 나선 것. 농가들은 ▲즉시 수매비축 실시 ▲이상기후에 따른 수확량 감소 및 저품위 발생에 대한 재해 인정 ▲저품위 마늘 대책 및 보상대책 수립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지난 6일 벌마늘이나 쪽마늘 같은 저품위 마늘에 대한 시장격리 계획을 밝혔다. 채소가격안정제에 참여한 물량의 경우 산지농협에 저장보관하도록 하고, 일반농가 출하물량은 지자체와 생산자단체를 통해 처리방안을 마련토록 하는 게 주된 내용이다.

농가 스스로 출하를 늦춰서 가격이 회복되길 기다리라는 뜻으로 해석되는 바, 사실상 농가들의 요구사항을 거부한 것이다. 마늘시장에선, 올해 마늘 작황이 부진해서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유통업자들은 포전거래 계약마저 포기하면서까지 마늘구매를 미뤘다. 지난해 김장철과 올 봄 양파가격 상승 때처럼 정부가 수입산을 들여오면 가격하락이 뻔하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상황은 수입산 공급이라는 뻔한 수급정책이 불러온 뻔한 상황이니만큼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 마늘시장의 요구다. 예측컨대, 정부는 조만간 소비촉진행사를‘전가의 보도’처럼 내밀 것이지만, 보다 현실적이고 실효있는 대책을 바라고 있다.

농가나 시장에 책임을 떠넘기는 무늬만‘시장격리’가 아니라 농가의 요구처럼‘수매비축’이라는 보다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실효 대책을 말이다. 주지하는 바, 인건비와 비룟값 같은 농업생산비가 크게 올랐다.‘본전’생각은 장사꾼이나 노름꾼만 하는 것이 아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