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4일 방영된 KBS 인기 예능프로그램 ‘1박2일’ 에서는 경북 영양군의 산나물축제 현장을 찾은 출연자들이 한 봉지에 7만원 짜리 옛날과자를 사는 장면이 방영됐다.

시청자들의 항의를 접한 해당 자치단체가 어설프게 책임 회피성 해명을 하면서 바가지요금 논란은 더욱 확산됐고, 앞서 열렸던 진해 군항제와 남원 춘향제, 함평 나비축제 등에서의 바가지요금 사례가 겹쳐지면서 ‘지역축제’ 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확산되고 있다. 당장 관광업계에선 여름 휴가철과 축제의 계절 가을을 앞두고 관광 이미지 훼손과 국내 축제 불매운동까지 이어질까 걱정하고 있고, 농특산물 대량 판매와 전국적인 마케팅 효과를 거뒀던 농민들도 지역축제 특수가  줄어들까 걱정하고 있다. 지역축제의 바가지요금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전국의 거의 모든 축제 현장마다 야시장이 있고, 이 야시장은 축제 현장을 따라 이동하며 영업하는 전문 이동상인들에 의해 운영된다. 적게는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까지 임대료를 지불한 이동 상인들이 이익을 위해 비싼 요금을 책정하는 일은 그동안 관행처럼 묵인돼왔다.

축제 운영을 책임지고 관리해야할 지자체 대부분이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면서도 운영책임을 ‘추진위원회’ 등 민간에 위임하면서 바가지요금 등 부실 운영을 초래해왔다는 지적도 있다. 1995년 이전 391개에 불과했던 지역축제는 2013년 현재 1129개로 늘어났다.

지방자치시대가 개막되면서 지역적 특성을 강화하고 지역주민 화합과 지역경제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지역축제를 늘려왔기 때문이다. 그동안 지역축제는 양적성장에도 불구하고 질적 성장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특색있는 콘텐츠 부족과 전문인력 육성 미흡, 투명하지 못한 운영으로 인한 주민간 갈등 초래, 지자체의 관리감독 미흡 등 아직도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바가지요금으로 촉발된 논란이‘전화위복’이 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정부의 각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