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11일‘도시농업의 날’기념식이 전국 곳곳에서 열렸다. 우리나라 도시농업은 1992년 서울에서 시작된 주말농장으로부터 시작됐다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당시 서울시농업기술센터가 주도한 주말농장은 시민들에게 각광을 받았고 이후 전국으로 확산됐다.

2005년 (사)전국귀농운동본부가 개설한 ‘도시농부학교’는 그동안 농사체험과 찬거리 마련 정도로 인식되던‘주말농장’의 개념에 생태와 환경을 연계한‘도시농업’의 철학적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후 도시농업은 2008년 미국산 소고기 광우병 파동을 통해 안전한 먹거리를 중시하는 국민 의식이 확산되면서 비약적인 성장을 위한 토대를 구축한다.

2009년엔 농촌진흥청에 도시농업팀이 신설됐고 전국의 지자체에는 도시농업 육성 조례를 만들어 도시농업 육성에 적극 나서게 된다. 2012년에는 국회에서 도시농업육성법도 새로 만들어진다. 도시농업 육성법 제정 전인 2010년에 15만3천명 정도였던 도시농업 참여자 수는 2019년엔 241만8천명까지 확대됐다.

반면, 도시농업의 급속한 확대는 농업인, 특히 도시 근교 농업인에게는 큰 위협으로 다가왔다. 채류 재배 농가는 판로가 줄거나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줄어들 것을 우려했다. 다행히 단체급식이나 직거래가 활성화되면서‘도시농업’에 대한 농업인들의 거부감은 많이 줄었지만 도시농업 확산에 대한 걱정은 여전히 남아있다. 농업인들의 걱정과 근심을 불식 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도농 상생’관련 사업들이 적극 확대되어야 한다.

“도시와 농촌이 함께 발전하는데 이바지한다”는 도시농업육성법 제정 목적에 맞춰 정부와 지자체의 도시농업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시 도농상생 발전 방안을 반영하도록 하고, 도시농업협의회에 농업인 대표를 참여 시키는 것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농업인이 도시농업관리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관련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을 지원하고, 도시농업관리사 양성 시 도농상생에 관련 내용을 교과과정도 편성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