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지·도서지역 방문 수리 지원 끊겨 농기계 수리 ‘막막’
고령화되는 농촌, 방문수리 절실… “인력 충원, 지원 확대해야”

 

 요즘 봄 영농철을 앞두고 도심에서 먼 모 마을회관에서 관리기를 수리 받은 농민은 흐뭇한 모습으로 수리기사에게 미소를 보냈다. 그러나 이 농민은 잠시 전까지도 수리를 기다리는 다른 농민들에게 싸움닭 같은 모습으로 볼멘소리를 내고 수리 기사에게 수리를 재촉했다.


순회수리교육(방문, 수리·조작·사용·안전교육)은 고령화된 농민의 농심을 위로해주는 교육인데 왜 불만족스러웠을까?


대부분 지자체는 수리점이 없거나 해안이나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의 깊숙한 지역에 순회수리교육(1년 1~2회 방문, 점검·수리·일부 부품 무상지원)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이곳 지자체는 수년 전부터 격년제 후순위제도를 도입했다. 올 3월에 방문하면 내년에는 10월에 방문하게 돼 사실적으로 2년에 1번 서비스를 받게 돼 이듬해에는 봄 논농사를 준비하는 농가들은 농기계(이앙기 등) 서비스를 전혀 받을 수 없어 무상지원 제도가 있음에도 개인이 점검·수리·부품 비용을 감당하고 있다. 


모 수리기사는 “농민들은 크게 반발하지만 어쩔 수가 없다. 이러한 제도 때문에 농민들은 자신이 소유한 농기계를 빠르게 수리받기 위해서 재촉하고 때론 언성을 높이기 일수”라며“인력부족으로 빠르게 수리해줄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오늘 2명이 지원 나왔는데, 요구사항이나 서류를 미리 접수받고 처리할 수 있는 운전직이라도 1명이 있다면 수리에 집중할 수 있는데 여건이 안 된다” 고 상황을 말했다. 


대부분 지역 농업기술센터는 지자체의 임대사업소의 사업 확대와 인력 부족으로 십수년전부터 본연의 임무인 순회수리교육을 원활하게 지원 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여러 농기센터는 수리교육을 폐지하거나 대폭 축소하는 곳도 있는 등 현재 명분만 이어가고 있다.  


특히 축소된 순회수리교육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날 수리 기사가 점검·수리 했던 예초기가 10분이 지나도 시동이 걸리지 않아 애를 먹었다. 


모 기사는“엔진을 통으로 교체해야 한다. 엔진 오일을 넣지 않는지가 꽤 된 것 같다. 1년에 1번 방문하다보니 고령화된 농민에게는 각인이 안 된다. 앞으로도 지금보다 작동불능 농기계 발생 빈도가 높아질 것”이라며“이 사례들은 전국 오지·도서 마을에 많을 거다. 교육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고령화된 농민들의 잔고장이나 혼유 사고가 빈번해진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모 마을이장은 “이곳 농민들은 농번기 때 예초기가 고장 나면 기술센터에 애걸한다. 전화를 해도 답이 없으면 고령자 농민들은 트럭을 운전하다가 교통사고가 적잖게 발생하고 있다” 면서 “저도 80세 인데 산길은 운전이 매우 어렵다. 더 힘든 것은 도심에 있는 일부 수리점은 터무니없이 부품·수리 비용을 청구한다. 교육을 확대해줬으면 한다. 우리 모두는 죽을 맛”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모 지자체의 경우 인력 부족 핑계로 순회수리교육 중 내방(농가가 농기계를 입고)수리는 90%로 편성하고 10%만 오지·도서지역을 방문해 수리해주고 있어 방만한 행정을 펼치고 있다. 앞으로도 오지·도서지역의 경우 농민이 많지 않고 거리와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해서 지자체의 지원은 더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 임대사업소 직원은 “지역사회이고 다 아는 농민들이지만 인력부족 현상으로 내방수리지원에 집중하고 있다”면서“방문 수리지원을 확대하기 위해선 인력을 충원해야 하는데 현재로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고 말했다.


이와 관련 타 모 임대사업소 관계자도 “귀농·귀촌·귀향 농민들이 늘어나면서 임대사업이 확대가 되고 있다. 그들은 도심에 살고 있기 때문에 가까운 임대사업소를 방문하지만 오지·도서의 마을 농민들은 이마저도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라며“임대사업이 확대되면 순회 수리교육은 더 축소될 수밖에 없다. 농민이 아우성을 쳐야 축소되더라도 존립할 수 있다. 자칫 농민 스스로가 자기 밥그릇을 챙기지 못하면 폐지 될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