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더 나아가 농가경제 활성화에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추수기 각 지자체 가을행사가 축소·연기된 상태에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정부에서 정한 ‘이태원 참사’애도기간 5일까지를 암묵적인 행사금지기간으로 서로 인정한 다음, 이후들어 멈췄던 지자체들의 지역브랜드를 내세운 행사홍보가 막 시작된 듯 하다.


농업계는 11월11일 농업인의날 즈음에 행사가 몰려있다. 애도기간을 넘겼다고는 하지만 축제분위기의 행사는 이미 아니다. 각 지자체와 관련단체간 행사준비위원회에서 재논의된 행사의 기조는 대부분 단촐하고 건조하게 방향을 잡고 있다. 공연 등 분위기를 돋우는 축제 프로그램은 생략하고 실무형태 전시행사나 기념식 등 ‘할 것만 하는’조용한 행사를 진행중이다.

지역행사의 핵심은 ‘방문객’ 인데, 이를 감안하면‘호객용’축제 프로그램을 생략한 상태에서의 행사는 성공이 어렵다. 지역경제 활성화에 마중물이 될 외부로부터의 방문객이 없는 지역행사는 당연히 실패로 진단하는 게 상식이다. 코로나19 사태로 3년간 수족이 묶였다가 해금된 분위기였던 올 가을이기에 농촌은 동네마다 행사 기대가 컸을 것이다. 


그런데 축소된 행사를 맞이하는 농가들은 예상보다 담담한 반응을 보인다. 괴산김장축제가 취소되면서 절임배추를 공급키로했던 농가는 계약량이 줄었다. 아쉽지 않느냐는 질문에, 당연히 그래야(취소) 하고 그게 아쉬워할 대상이나 문제는 아니라고 말했다. 행사를 중간에 멈춘 한우협회 숯불구이축제 참여 회원도 배추농가와 비슷한 답을 했다.

경북 영주시 영주사과축제는‘이태원 참사’당일인 29일 행사가 시작되고 다음날부터 모든 축제 프로그램을 멈췄다. 여기 축제 관계자 또한 이번 행사 축소와 농가들의 사과소득은 연관지을 일이 아니라고 차분하게 말했다.   


농업계가 쌀값 회복을 요구하고, CPTPP 결사 반대를 외치고, 적자가 쌓이는 농삿일을 호소했던 상경 투쟁 또한 절실하게 국민적 공감대를 갈망했던 것임을, 농민들은 역지사지로 잘 알고 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