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인구 증가의 견고한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귀농·귀촌 정책의 확장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주목받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귀농·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총 귀농·귀촌인 수는 51만5,434명으로, 전년에 비해 4.2% 증가했다.

2013년 현재 방식으로 통계조사가 시작된 이래 2017년 51만6,817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숫자다. 지난 7일 농촌경제연구원은 현안분석보고서를 통해 2019년 말부터 급등한 도시 주택가격으로 인해 농촌으로의 이주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농촌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추진한 지자체들에서의 귀촌인 증가가 두드러졌고, 30대 이하 젊은 계층의 귀농·귀촌 흐름도 강화됐다고 봤다.

농촌경제연구원은 귀농·귀촌 인구가 확대되고 이들이 잘 정착하도록 지원하는 것은 농촌 소멸을 막고 농촌의 가치를 더 높있수 있는 지름길이라며 주택,교육,의료,복지,문화 등의 정주 여건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세대별로 차별적인 농촌 수요를 고려해서 일률적 정책보다 세대 맟춤형 귀농·귀촌 정책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일자리를 이유로 귀농·귀촌이 많은 2030세대나 청년·중장년·여성 등에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검토와 구체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귀농·귀촌인들이 정착 지역내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과 교류·협력할수 있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도시와 농촌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여전히‘손님’으로 여겨지는 귀농·귀촌인들이 지역주민과 함께 ‘이웃’ 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도입도 필요하다.

상당수의 귀농·귀촌인들이 체계적인 농사교육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만큼 지역내 선도농업인들을 통해 현장에 기반한 영농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멘토링 사업도 적극 추진되어야 한다. 농촌소멸 위기 속에 귀농·귀촌인에 대한 농촌현장의 인식도 크게 변화한 만큼 보다 적극적인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