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쌀 수급안정을 위해 조만간 3차 시장격리를 결정할 것이란 전언이 돌고 있다. 새정부 들어 나름 농업분야 중대 현안에 대응한 첫 조치여서 농업계 기대가 크다. 물론 3차 시장격리가 시행된다고 해서 금세 가격이 반등하진 않겠지만, 예상되는 수확기 쌀값대란의 충격을 일정부분 상쇄시키고 늦출 수 있다는데서 의미있는 조치라는 판단이다. 이와 더불어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비롯된 세계적인 식량위기 대처방안으로, 과거의 수매정책을 부활시켜 식량안보를 지키고 농가소득을 보전해주는 방안을 제시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세계적인 식량위기는 밀산업을 중심으로 각종 곡물가격의 급격한 상승에서 촉발됐다. 세계 3위의 밀 수출국인 우크라이나의 생산 중단과 흉작이 원인이다. 또 석유, 천연가스 등 원유수출 중단이 각국의 기름값을 끌어올렸고 사료값 등 농축산업 경영비 상승도 부추겼다. 코로나 사태로 시작된 식량안보 위기가 전쟁을 기점으로 어떤 국가에선 인플레이션으로 또는 디플레이션으로 전세계적 경제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당장엔 식량위기를 걱정할 상황은 아니라고 하지만, 최근의 밀가루를 원료로 한 식료품 가격 인상을 시작으로, 장기화될 경우 폭락 수준인 쌀값 마저 고공행진 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최근 한 농업연구기관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농지자원을 국가차원에서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식량위기에 대처할 것을 주문했다. 단기적으론 쌀, 밀 등 곡물뿐만 아니라 채소, 과일, 축산물을 포함한 밥상 물가를 지키기 위해 정부 비축사업을 준비해야 한다고 봤다. 더 나아가 다른 나라와 식량 공동비축 협정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만일의 모든 가능성에 준비해야 한다는 말이다.

박대조 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장은 이참에 수매정책을 부활시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장엔 괜찮을지 몰라도 머지않아 지금은 남아도는 쌀마저 부족사태가 올 수 있고, 무척이나 잦아진 이상기후가 동반되면 모든 농산물값이 폭등할 것으로 본 때문이다. 예상되는 위기에 대처하는 것은 과해도 괜찮다. ‘유비무환’이라 했다. 탈이 나면, 이미 늦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