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별 농사일 비중 달라…맞춤 정책 수립 필요

여성농업인들의 농업생산 참여와 역할은 갈수록 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정책 효과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여성농업인의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를 발표했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중 농업 취업자 비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여성 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농사일을 50% 이상 담당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2008년 43.6%에서 2013년 66.2%로 22.6%p 상승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2008년 조사에서는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이 50% 이상이라고 응답한 품목은 화훼 및 일반밭작물이었으나, 2013년에는 축산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이 50% 이상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세대별로 농사일 비중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6~45세의 청년여성농업인의 담당 비중은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6~65세 여성농업인은 농사일을 담당하는 주축 세대로, 농사일 비중도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65~85세 여성농업인의 경우 일부 세대에서 농사일 담당 비중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효과는 매우 미미하고, 이 세대에 속한 여성농업인 대부분은 농사일 담당 비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농사일 비중에 구별됨에 따라, 각 세대에 맞는 영농활동 관련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한 정책과제를 제시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26~45세 그룹의 여성농업인은 소득의 불안정성 완화, 자녀 교육의 양적 측면만이 아닌 질적 측면까지 고려한 정책, 자격증 취득, 블로그 운영과 같은 컴퓨터 교육 수요 등이 높았다. 46~65세의 여성농업인은 노동투입이 가장 많은 그룹으로 가사와 농사일의 병행에 따른 부담을 가장 많이 호소했고, 특히 농번기에 가사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6~85세까지는 대부분 특정한 교육보다는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건강 관련 수업이나 취미 관련 수업에 대한 수요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엄진영 부연구위원은 “여성농업인의 농업생산 참여와 역할은 시간이 갈수록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이에 따라 관련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면서 “그러나 정책 대상자인 여성농업인이 체감하는 효과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특히 엄 부연구위원은 “세대별로 여성농업인이 담당하고 있는 농사일의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각 세대에 맞는 영농활동 관련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한 정책과제를 제시해야 한다”면서 “무엇보다 농촌여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