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이 규모화 되고 기계화 되면서 농업생산성이 크게 향상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이에 따른 폐해가 있다. 쓰임새를 다한 비닐, 빈 농약병과 약봉지 등 영농폐기물이 바로 그것으로, 과거 백색혁명을 이끈 주역이라해도 과언이 아닌데 이제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주된 사용자인 농업인이 부주의한 탓이기에 그리 억울하진 않지만, 환경단체들의 많은 문제제기에도 대책마련에 소홀했던 정부 책임도 작지 않다. 이 때문에 최근 몇 년새 농촌지도자회 등 농업인단체를 중심으로 영농폐기물을 수거해 재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고 정부와 지자체가 수거보상비를 지급하는 등 독려하고 있다.


기계화의 역설이랄까, 최근에는 경운기, 이앙기, 트랙터 등 폐농기계와 폐타이어가 농촌의 경관을 해치는 골칫거리로 등장했다. 이곳저곳에 방치돼 경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폐농기계에서 흘러나온 폐유가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것 역시 농업인이 적극적인 재활용 의지만 있었다면 문제될 게 없지만 이것들을 고철 용도이외에 어떻게 활용할지 모르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같은 폐농자재와 폐농기계를 원활히 수거하고 재활용 등 자원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요구하는 환경단체를 비롯한 농업인단체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농촌인구 고령화로 인해 영농폐기물 수거작업이 쉽지 않은 상황인데다 재활용에 따른 수익성도 크지 않은 탓이다. 예컨대 폐비닐의 경우 연평균 32만 톤 이상이 발생하는데 실제 수거되는 양은 20만 톤에도 이르지 못하고 있고, 유리, 플라스틱 등을 다 포함한 농약병도 연간 5천만 개 이상 수거됨에도 농업현장에서 여전히 심심찮게 발견되고 있다. 농자재를 활용한 농업인 당사자들의 환경보호의식도 중요하지만, 수거활동에 물리적 한계가 있는 것이다.


최근 농협이 한국환경공단와 일부 지자체가 손잡고 폐농기계와 폐타이어를 수거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아직 시범사업단계여서 그 효과를 가늠하기 어렵지만 적정한 수거보상금이 지급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재활용방안이 나온다면 큰 호응이 기대된다.

특히 당사자인 농업인 및 단체도 이미 수거보상금을 불우이웃돕기나 청소년 장학금으로 기탁하는 등 사회에 환원하는 경우가 많으니 이 역시 금상첨화다. 현재 이를 위한 정부지원이 일부 이뤄지고 있지만 부족한 게 사실이다. 정부의 보다 많은 예산지원으로 이런 사업이 더욱 확대되어 깨끗하고 아름다운 농촌경관을 유지, 보존하는데 기여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