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농가인구가 지난 12월 기준으로 242만2천명으로 조사됐다. 통계청 조사결과를 보면 농가 수는 114만2천 가구에 가구당 2.3명씩 242만2천명으로 집계된 것. 2013년 284만7천명에서 4년만에 42만5천명이나 줄어들었다. 이 가운데 70세 이상 고령인구가 30%를 넘었다. 60세 이상으로 넓히면 134만명으로 전체 55.3%나 차지했다.

반면 50대 이하는 계속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농업인이 지속적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원인인데 고령화 속도가 전국 평균의 3배 이상 빠르다. 이대로라면 20~30년 후엔 100만명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 뻔한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최근엔 이런 상황이 더욱 심각해졌다. 읍면단위 농촌지역의 4개 마을에서 40대 이하 청년농업인이 1명에 불과하다는 기막힌 현실이 눈앞에 벌어지고 있는 것. 기록상 1명이지 사실상 농촌에서 청년을 아예 볼 수 없다는 말이다. 이 때문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청년농업인의 농촌 유입을 위해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사업’을 올해 처음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당시 공약인 ‘청년농업인 직불금사업’을 제도화한 것이다.

올해 1,200명을 선발해서 매달 80만~100만원을 월급처럼 지급하는 사업인데, 이 사업에 무려 3천326명이 신청해 2.8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언듯보면 요즘 농사를 지으면 살만하니 그런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도시에 일자리가 더 이상 없기 때문에 차선책으로 농촌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시쳇말로 ‘웃픈’ 현실이다. 갈수록 살기힘든 현실에서 그나마 다행이고, 이들 한 명 한 명이 보배나 다름없으니 말이다.

그런데 어렵게 찾은 이런 보배를 놓칠 수도 있다. 최근 국회가 정쟁에 빠져 정부의 추경예산 심사를 못하고 있는 때문인데 정치권 안팎으로 야당의 국회 복귀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야당은 무엇보다 민생현안을 최우선 하겠다고 공언하면서도 정쟁의 거래 도구로 이용할 뿐 관심 밖이다. 사실 최우선 해야할 사업이 청년농업인 지원사업 뿐이겠는가 싶다.

하지만 당장 10~20년 내에 농업현장에서 일할 사람이 없어서 농업생산이 줄어들고 물밀 듯 들어오는 수입농산물이 우리네 식탁을 점령할 것을 생각하면, 이 문제를 뒷전에 밀어둘 일도 아니다. 국회는 특히 야당은 더 이상의 정쟁을 그만두고 발등의 불인 민생현안부터 챙기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