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가·임가도 감소…농업포기, 전업, 이농 등 감소세 지속

농가 인구 중 만 65세 이상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40%를 넘어섰다.

통계청이 지난 14일 발표한 ‘2016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농가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은 40.3%로 전년 38.4%보다 1.9% 늘었다. 1949년 농업조사를 한 이래 처음으로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40%를 넘어섰다.

다른 산업도 초고령화가 더욱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고령 인구의 비율은 어가 32.5%, 임가 37.3%로 각각 전년보다 2.1%, 2.8% 늘었다.
지난해 전국 고령 인구의 비율은 13.2%로, 농업은 전국보다 3배 이상 비율이 높은 셈이다.
이와 함께 농·임·어가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일 기준 한국의 농가는 106만 8천가구, 어가는 5만3천가구(내수면 제외), 임가는 8만7천가구였다. 전년보다 각각 1.9%, 2.9%, 3.9% 감소한 수치다.
인구수로 볼 때 농가는 249만6천명, 어가는 12만6천명(내수면 제외), 임가는 20만4천명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각각 2.8%, 2.1%, 5.9% 줄었다.

고령화에 따른 포기, 전업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젊은이들이 농림어업을 기피해 도시로 떠나가고 남아 있는 인구의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다”며 “일부 귀농으로 인구가 유입된다고 해도 연령대가 높아 고령 인구 비율을 줄이는 데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또 농·임·어가의 가구 인원은 2인 가구가 대부분으로, 농가의 53.5%, 어가의 54.9%, 임가의 58.0%가 2인 가구였다.
1인 가구가 늘어나는 일반적인 인구구조와 다른 현상이지만 이 역시 젊은인력들이 도시로 빠져나감에 따른 현상이라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