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소 우유를 많이 생산토록 하는 산유촉진 성장호르몬(rBST)이 국내 낙농가에게 유통·판매됐고, 이를 주입한 소에서 생산된 우유는 암 발생 위험성이 높다는 언론보도에 낙농업계가 발깍 뒤집혔다. 우유소비 부진으로 불황을 겪고 있는 낙농업계로선 치명적인 악재로 작용할까 불안해서다. 낙농육우협회 등 생산자들은 사용하지도 않는 산유촉진제를 아예 사용금지토록 즉각 법제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 문제는 해당 호르몬제가 출시된 1994년부터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는 논란으로, 원유가 부족하던 95년에 정점을 찍고, 이후 문제가 완만히 해결된 듯 했다. 이번에 문제가 된 LG생명과학의 ‘부스틴’이라는 약제품은, 그 당시 농가들 사이에선 암암리에 사용하던 제품이었다. 이후 유럽 각국들의 수입제한조치와 국내 소비자들의 퇴치요구 등에 밀려 국내 시판이 잦아들었던 것.

헌데 2012년 여성환경단체로부터 똑같은 소비불안을 이유로 언론에 문제제기 됐다. ‘부스틴’외에 성장촉진호르몬의 국내 사용실태와 대책에 대해 농식품부에 공식 질의에 나선 것이다. 이때 정부는 “소의 성장호르몬의 국내 시장규모는 2011년 기준 약 4억3천만원으로, 취급규칙에 따라 동물용의약품으로, 생산 및 판매 실적은 동물약품협회에 보고해야 한다”고 안심시켰다.

헌데 최근 같은 문제가 또 터졌다. 한 언론에 ‘오늘 아침 마신 우유…발암 위험?’이라는 선정적인 제목으로 1면을 장식한 것이다. 이번에도 정부는 국내에선 판매액이 감소 추세이고,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소성장호르몬과 차이가 없으므로 인체에 어떠한 위해도 없다고 해명에 나섰다.

너무 미온적 대응이다. 20여년간 되풀이되는 문제로 인해 낙농가들은 멀쩡한 원유를 길거리에 버려왔고, 소비자들은 나날이 불안에 떨어왔다. 이쯤이면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하는게 정부 자세임을 강조한다.

젖소 난포에 이상있을때 사용하거나, 한우가 분만한 뒤 초유가 나오지 않을 경우 등에 사용한다는 ‘부스틴’을 아예 없애거나, 소비자들이 이해하도록 충분한 설명을 해야 할 의무를 말한다. 똑같은 실수가 서너번쯤 이어질 땐 정부도 처벌 받아야 한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