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소득 3,721만원…도시근로소득 64.4% 수준으로 격차 완화

정부보조금 증가와 농업소득 증가 등에 힘입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농가의 소득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한때 50%대로 떨어졌던 도농 간 소득격차 역시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5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농가경제조사’를 추가 분석한 결과 지난해 농가소득은 평균 3,721만원으로 전년 대비 6.5% 늘었다고 밝혔다.
농가소득은 농업소득과 농업외소득, 이전소득(농업보조금) 등을 합친 금액이다.

이 가운데 지난해 직불금 등 농업생산과 관련된 이전소득은 전년 대비 15.9% 증가하며 전체 농가소득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소득 증가분 중 이전소득 증가분이 차지하는 비중도 절반에 가까운 48%로 가장 높았다.

영세 고령농을 포함해 농가에 지원되는 기초노령연금 등 기타 공적보조금이 전년 대비 16.4% 증가함에 따라 전체 소득 증가에 기여했다.
또 수 년째 고전을 면치 못하던 농업소득이 늘어난 것도 농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농업소득은 전년 대비 9.3% 늘어난 1,126만원이었다.
농경연은 “사료구매자금, 시설현대화 자금 등 농업정책금리 인하와 유가하락 등에 따른 경영비 절감 덕분으로 보인다”며 “특히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로컬푸드 직거래 확대, 자율적 수급조절 활용 등 유통구조개선, ICT스마트팜 추진 등의 정책이 효과를 보면서 큰 규모의 전업농가의 소득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농경연은 이같은 추세에 따라 앞으로 전체 농가소득에서 농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30% 선을 다시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농가 소득이 늘면서 도농 간 소득 격차도 다소 완화됐다.
지난해 기준 도시 근로자 가구 소득에 대한 농가소득 비율은 64.4%였다. 해마다 격차가 심화돼 비율이 2012년 57.6%까지 떨어졌다가 2014년 61.5%로 다시 회복한 이후 2년 연속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모습이다.

농경연은 “농촌 지역의 고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는 국민연금 보험료지원이나 농지연금 지원 등과 같은 복지정책이 효과적”이라며 “소규모 고령농가에는 복지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다양한 농촌 일자리를 통한 근로 수입을 올리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농외소득이 경기에 의존되지 않도록 보완하는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