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장태평 농식품부장관은 오래 묵어 처리가 곤란한 정부미를 ‘사료용’으로 처분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들린다.

‘보릿고개(춘궁기)’를 겪었던 장년층 이상은 “절대 있어서는 안될 일”이라며 손사래를 친다. 일반 국민들도 “우리의 정서에 쌀을 사료용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왠지 반감이 먼저 생긴다”는 답변이 대부분이다.

식품업계에서도 “식품 원료로 사용하던 묵은 정부미를 사료용으로 전환한다면, 현재 판매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상당히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판매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는 문제”라고 반대의견이 일반적이다.

반면 사료업계는 ‘경제적 부담’만 떠넘기지 않는다면 사료용 원자재로 괜찮다는 반응이다. 업계 관계자는 “업체들 대부분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원료보다 싼 대체원료를 발굴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만 줄일 수 있다면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국민적 정서’를 무시할 순 없지만, 궁여지책으로 내 논 쌀 재고처리 방안이 나름대로 설득력 있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쌀 생산기반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늘어나는 생산량과 줄어드는 소비량을 해결하기 위해선 구조적인 흡수 장치를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는 중론이다. 그런 의미에서 남는 쌀을 사료용으로 이용하겠다는 정부 대책은 그중 나은 편이다. 학계 한 전문가는 “다양한 가공품 개발, 대북 지원, 극빈국 원조 등의 재고처리 대책이 멈춘 상태에서 정부미를 사료용으로 전환하는 것은 고정적인 처리대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논이 밭이나 개발지역으로 바뀌게 되면 식량 자급률이 낮아지게 되고, 가까운 미래에 다국적 기업들에게 휘둘리는 비운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쌀 문제는 생산기반을 보호하는 기본 철칙을 깔고 풀어야 할 과제다. “쌀이 남는 만큼 논을 없애면 된다”는 어느 초등학생의 생각을 따라해 선 안될 일이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