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여곡절 끝에 폐지 위기를 넘긴 농촌진흥청이 새로운 수장을 맞이해 직종 간 인사파괴 등, 개혁을 위한 각종 실험을 실시하고 있다. 이는 개혁 없이는 진흥청이 자리매김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의 발로때문이다.

개혁은 내부의 필요에 의해 구성원 상호간의 이해와 합의, 그리고 자발적 동인으로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 과정이라 할 수 있고, 그래야만 불필요한 잡음을 최소화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개혁의 목적이 수요자인 농업인을 위한 기관으로 거듭난다는 단순함에 근거해야지, 청 자체의 생존이나 조직을 위한 개혁일 때는 본말이 전도되는 우를 범하게 된다. 농촌지도자회를 비롯한 수많은 농민단체들이 진흥청폐지 반대시위를 벌려야 했던 이유와 개혁방향을 연계한다면 답은 간단해진다. 기관의 설립 목적인 연구개발과 그 성과를 일선 농업 현장에 충실하고 원활하게 보급하기 위함이 진흥청이 존재하는 이유의 시작이고 끝이기 때문이다. 연구개발과 지도보급 사업이라는 두 축이 톱니바퀴모양 잘 물려 돌아가도록 어떻게 조직을 개혁할 것인가가 결국 핵심 ‘키워드’인 것이다.

지난 7일 진흥청 대강당에서 열린 청 개혁추진 선포식은 청 직원은 물론 농민단체장과 소비자단체장 등이 함께 자리한 국민과의 약속을 선포하는 자리였다. 이날 청이 밝힌 개혁의 방향은 ‘경쟁’과, ‘소통’, ‘자신감’과 ‘벽 허물기’로서 국민의 공복으로서 소비자와 농민을 섬기는 공직자 상을 확립하고, 공직사회의 무한경쟁, 직종·예산 간 벽 허물기, 연구·지도 전문가로서의 자부심을 고양시킨다는 것이 골자였다. 이를 위해서는 상의하달 식 압박이 아닌 조직내부의 의식변화와 능동적 태도가 선행돼야 하고, 변화에 따른 조직의 조기 안정화도 뒤따라야 한다. 세계적 연구지도기관으로 탈바꿈하겠다는 목표를 위해서도, 그로 인해 전체 농업인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 반석이 되기 위해서도 개혁에 거는 기대가 클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