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수직농장’이라 불리는 스마트온실을 적극 육성하겠다고 한다. 현재 보급률이 14% 수준인데, 2027년까지 3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인데, 앞으로 자금 지원과 더불어 관련 제도상 규제를 크게 개선해줄 방침이다.

지금처럼 심각한 농업인구 고령화와 경지면적 감소, 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 피해 등 농업·농촌 환경을 고려하면 이만한 대안이 없다는 게 사실이다.

이에 반해, 아직 기술력이 완성되지 않았고, 농산물 재배관련 데이터도 충분치 않고, 일시에 많은 자본이 필요하고, 대량 생산에 따른 농산물시장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은 단기간에 해결하기 힘든 숙제다.

한국무역협회가 국내 스마트팜 기업 90개 회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보면, 대부분 높은 초기투자 비용과 대규모 자본 유입의 어려움을 스마트팜 산업이 활성화되기 어려운 이유로 꼽았다.

그래서 정부가 이번에서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막대한 자금을 지원을 약속한 것 아닌가 싶다. 이에 대해 농업계는 장기적으로 수직농장 방식으로 생산한 농산물을 국민 먹거리로 제공할 날이 올테지만, 그래서 그에 맞게 대비하는 것이 옳다고 보지만, 수직농장을 운영하는 기업에게 농업인 자격을 부여하고 농업예산을 지원하는 건 문제라는 의견이 많다.

더구나 장기간, 대규모 자금력이 필요한 사업에 정부가 청년농이나 기존 농업인의 참여를 요청하는 건 애초에 말이 안 될뿐더러, 이렇게 생산한 대량의 농산물을 수출하겠다고 하지만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것이 향후 농산물시장과 농업인을 불안케하는 요소로 작용하리라는 것, 또한 대기업의 농업진출을 두고 온 농업계가 들썩였던 과거의 기억을 재소환할 것이 자명한 일이라는 걱정도 있다.

정부는 미래농업을 위한 것이라 말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기존방식의 농업·농촌은 어떻게 지속·유지할 것인지 고민은 제시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최근 스마트팜 현장교육을 받은 한 청년농업인의 걱정과 고민은 이랬다.

“매력적이긴 한데 돈 없는 농업인은 언감생심, 쳐다보기도 힘들다. 내 운명도 결국엔 대기업 농장에 취직해야 하는 건 아닌가 걱정이 앞선다.” 되새겨 볼 만한 얘기 아닌가?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