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고급육 생산 위해 32개월 내외 사육해야”

 

 

 

출하월령 늘어난 작년 한능평 출품축 성적 향상돼
도체중보다 선호 부위 크게 키워야 소득 증대 

 

“작년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의 경우 럼피스킨으로 인해 50여 일 정도 지연됐는데, 오히려 사육 기간이 늘어나면서 고기 품질이 더 좋아졌습니다. 출품축들의 육질 등급과 성적이 직전 대회보다 향상되면서 중도매인들 간의 구매 경쟁도 매우 치열했습니다.”


3년 연속 한우능력평가대회 최다 낙찰자이자 작년 한 해 동안 음성축산물공판장에서 한우 7,300마리를 구매할 정도로 큰손인 과연미트 이정익 대표는 작년 한능평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작년 한능평은 총 268마리가 출품한 가운데 평균 출하 체중 889.4kg, 도체중 546kg, 등심단면적 115㎠, 등지방 두께 13mm으로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이는 직전 대회 대비 출하 체중과 도체중은 각각 53.3kg, 31.2kg 증가한 것이며, 등심단면적은 직전 평균 110.96㎠ 보다 4.04㎠ 커진 것이다.

특히 육질 1++등급 출현율은 78.7%로 직전 대회 69.1% 대비 9.6% 상승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대표는 조기 출하 등 정부의 한우 생산 부분 관련 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탄소 감축을 위해 한우 출하월령을 단축하자는 게 최근 정부의 기조지만, 고기 맛이 들기도 전에 출하하면 소비자에게 외면받게 됩니다. 최소 거세 후 24개월 이상은 사육해야 하며 보통 32개월령 정도 돼야 한우 고유의 풍미가 확 살아납니다. 출하월령을 단축한다고 해서 탄소가 정말 줄지, 오히려 회전율이 빨라져서 탄소가 더 발생하지는 않을지 의문이 듭니다.”


이 대표는 좋은 한우고기에 돈을 아끼지 않는 중도매인으로도 유명하다. 돈을 아끼지 않고 더 지불하는 이유는 농가들에 ‘이렇게 한우를 키우셔야 한다’는 말을 전달하기 위해서다.


“도체중이 크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소가 아닙니다. 등심단면적이 뒷받침돼야 합니다. 도체중 450kg 기준 등심단면적이 120㎠ 이상 되는 등 무게보다 더 중요한 건 도체에서 차지하는 등심의 양, 즉 전체적인 부위의 밸런스입니다. 또 갈수록 부위는 세분화되고, 각 부위별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지금의 추세여서 등심·안심·채끝 등 선호 부위들을 크고 좋게 키워야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끝으로 이 대표는 한우농가들에게 농장 데이터화에 힘써줄 것을 부탁했다.
“현재 한우에 등급은 있지만 규격은 없습니다. 내 농장 소의 평균 도체중, 등심단면적, 육색, 미세마블링 형성 정도 등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기록을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한우고기 고품질 규격화가 이뤄졌으면 합니다. 저도 유통 일선에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소에 대해 앞으로도 농가에 적극적으로 알리며 농가와의 상생을 도모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