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자유무역협정)가 국가 경제적으로는 큰 이익을 가져다 줬지만, 한국의 농업분야에 어쩔 수 없는 피해를 줬다. 늘 죄송한 마음이다.”


지난 10일 임명된 정인교 신임 통상교섭본부장이 1년전 지역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남긴 말이다. 정 본부장의 이력을 보면 농업과는 관계없어 보이지만, 의외로 농업계에서 꽤 유명인사다. 안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 20여년전 한·칠레FTA 때부터, DDA, 한미FTA, 메르코수르, CPTPP, IPEF…. 다자·양자 무역협정과 관련해서는, 즉 농업개방 물꼬를 트자는 테이블 논의에서는 항상 그가 있었다. 정 본부장의 시장개방 구상에 국내 농업은 ‘혹’ 같은 존재였다. 농업은 대책을 세워 보전하면 된다는 식의 멘트를 날렸고 글을 썼다.


개방이 추진되고 이에 따른 농업 피해가 현실화된 상황에서도, 정 본부장은 농업 피해를 외면했다. 일례를 들면, 2017년 한미FTA 발효 5년을 돌아보는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오렌지나 체리가 많이 들어왔으나, 제주산 밀감 가격이 폭락했다는 소리는 아직 안들린다. 오히려 다양한 채소나 과일이 들어오면서 수요기반이 늘었다” 라고 호도했다. 


이보다 앞선 2006년 6월 한미FTA 1차 협상이 진행될 때, 국내에서는 이를 두고 찬반 진영이 나눠져 있었다. 반대진영인 농업계는 협상장이었던 미국 워싱턴으로 원정투쟁에 나섰고, 국내에서는 대규모 상경집회를 연이어 가졌다. 당시 찬성론자였던 정 본부장은 “미국에서는 미국법 테두리내에서 시위를 하고, 국내에서는 기존 방식대로 시위를 한다” 고, 언론 기고 글을 통해 FTA 반대진영을 조소했다. 


정 본부장의 개방시대 농업대책은, ‘농산물 개방 최소화 및 세이프가드 설정’ ‘농업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 ‘농업분야 손실 보전’ ‘농업의 경쟁력 강화’ 등이다. 학자로서 약속사항은 아니었다. 그랬던 그가 글로벌 외교통상에서 우리나라를 진두지휘하는 통상교섭본부장이 됐다. 그의 지나온 발자취와 함께했던 농업계는 다시 침울한 미래를 떠올리고 있는 중이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