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수 농촌진흥청 고객지원담당관실 기술위원
배추가 시들어 가고 있다. 배추 뿌리가 물러 썩는다. 올해 8월 말부터 심은 배추는 9월과 10월 사이에 높은 온도와 잦은 강우로 죽어 가서 국가와 지자체에서는 농업재해로 인정해 보상을 준다고 한다.
그러나 올해 김장하기 위해 나머지 배추를 철저히 관리해야 하는 시점에 놓여있다.
배추에 발생하는 무름병, 밑둥썩은병, 뿌리혹병으로 특히 8월 말과 9월 초에 심은 배추에 피해가 크다.
그중 무름병의 병징은 초기에 지제부 아랫잎 위의 엽병이나 줄기부터 발병해 담갈색 수침상으로 병 무늬가 급속도로 잎 부분까지 퍼지고 다른 엽병에도 확산되어 결국에는 결구 내부까지 연화되고 부패하며 무름병은 세균병으로 발생적온은 32~33℃이다. 조생종 품종 배추에 많이 발생하고 품종에 따라 발병 정도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또한 밑둥썩은병은 자제부 부터 발병이 시작되어 처음에 외엽의 기부가 약간 수침상이 되고 짙은 갈색으로 변색한다. 이후에 변색이 위쪽과 결구의 내부까지 진행된다. 갈변 부위 조직이 연화되고 작은 힘만 가해도 용해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병든 잎의 외측 및 지제부에 접하는 부근에 백색의 균총을 형성한다. 병원균은 담자균류의 일종으로 균핵과 담자포자를 형성하고 피해 식물의 잎에 붙어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토양중에 들어가 토양전염을 한다. 습기가 많은 토양에 발병과 여름철에 발병이 많다.
이러한 병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용약제로 적극 방제가 필요하다.
먼저 무름병 예방과 치료 농약은 코퍼옥시클로라이드·가스가마이신 수화제, 가스가마이신·발리다마이신에이 액제, 옥솔린산·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드레이트 수화제, 코퍼옥시크로라이드·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드레이트 입상수화제가 있다.
밑둥썩은병 예방과 치료 농약은 에트리디아졸·플루톨라닐 유제, 벤티아발리카브아이소프로필 입상수화제, 에트리이졸·티플루자마이드 유제가 있다. 이러한 약제는 농약안전사용을 준수하면서 살포로 병해 피해를 경감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비가 자주 올 것을 대비해 저지대 논밭에는 배수로 정비로 물이 고이지 않도록 당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