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 기계 사고 발생 현황
매년 농업기계 사고(2017~2021년)는 1,196건이 발생하고, 사망자는 86명이며, 다친 사람은 909명이다. 농업기계 교통사고 사망률은 14.5%, 전체 교통사고 사망률 1.6%에 비해 9.1배가 높다. 그만큼 농업기계 사고는 중상 확률이 높은 유형이기 때문에 철저한 농기계 점검과 안전 수칙 준수가 필요하다.
농업기계 사고 발생 시기는 씨앗 파종, 모내기, 수확작업이 있는 5월과 10월에 많이 발생한다. 사고 유형별 분포는 끼임 사고가 37.8%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복·전도 사고 22.9%, 교통 사고 17.1% 순으로 나타났다.
□ 농업기계 안전 이용 수칙 10가지
1. 정기적 점검·정비와 사용 전 각부 상태 및 긴급 정지장치 점검을 필수화하자.
2. 회전 부위 등 사고 위험이 있는 곳에 방호 커버, 안전 장치를 장착하자.
3. 농업기계의 점검·수리 시 엔진을 반드시 정지하자.
4. 경사지, 좁은 농로, 방향 전환 시 감속을 생활화하자.
5. 야간 및 악천후를 대비하여 야간 반사판, 등화 장치는 항상 점검하자.
6. 주·정차 시 반드시 시동을 끄고, 주차 브레이크를 고정하자.
7. 도로에서는 교통법규를 반드시 준수하자.
8. 음주운전을 절대 금지하자.
9. 헐렁거리지 않게 작업복을 착용하고 신체 끼임 사고에 주의하자.
10. 작업에 적절한 작업복, 작업모, 안전화 등의 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하자.
□ 농업기계 종합 보험 가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
농기계 종합 보험은 농업인 사회 안전망 확충을 통해 농기계 관련 사고로부터 경제적 손실을 보상하고 신속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국가정책보험이다.
가입대상 기계는 동력 경운기, 트랙터, 콤바인, 승용 관리기, 승용 이앙기, SS 분무기, 광역방제기, 베일러(결속기), 농업용 굴삭기, 농업용 로우더, 농업용 동력 운반차, 농업용 항공 방제기(헬기, 드론) 이다.
상품 형태는 순수보장형(소멸성)이며, 보험 기간은 1년, 납입 방법은 일시납이다. 계약 단위는 1농기계당 1계약이며 보험료 지원은 정부 50%에 지자체별로 최대 45%까지 추가 보조될 수 있다.
상품은 농기계 손해, 자기 신체 사고, 대인 배상, 대물 배상 등 보장 종목과 자기 신체 사고Ⅱ 특약, 적재 농산물 위험 담보 특약, 법률비용 지원금 특약 등 특약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