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질환은 전체 농업인중 80% 이상이 관련 증상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다른 질환에 비해 발생률이 무척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작업은 소수의 인원이 다양하고 과도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열악한 작업조건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사회적 특성상 농업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근골격계 질환과 같은 직업성 질환이 심각하다.

 

작업 자세 개선

 부적절한 작업 자세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신체 부위에서 중립적인 위치를 벗어나는 자세를 말한다. 쪼그려 앉는 자세, 허리를 구부리거나 비트는 자세, 팔을 어깨 위로 올린 자세, 목을 구부리거나 젖히는 자세, 손과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자세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농작업 자세이다. 

 동일한 자세로 장시간 작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 자세와 앉은 자세를 번갈아 하거나, 자주 휴식 시간을 가져야 한다. 올바른 작업 자세를 유지하도록 발판, 의자,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과도한 힘을 줄이는 장비

 강한 힘을 요구하는 일은 근육, 건, 인대, 관절에 더 큰 부담을 주게 된다. 과도한 근육 피로를 줄이기 위해 최소한의 힘으로 작동할 수 있는 편이장비나 동력장비 등을 사용한다.

반복 작업 개선 

 순치기, 적과, 가위질 등 대부분의 농작업은 같은 동작이 자주 반복되는 경우가 많다. 부적절한 자세와 과도한 힘이 더해지면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유사한 동작의 장시간 반복을 줄일 수 있도록 작업방식을 개선하거나 적절한 휴식 시간이 필요하다. 가위와 같은 손으로 쓰는 공구는 손목이 꺾이거나 비틀지 않도록 설계되고 손잡이가 미끄럽지 않은 것을 선택한다.

 

적절한 중량물 취급 

 중량물을 운반할 때는 허리 통증 예방을 위해 몸에 가깝게 밀착하여 취급하고, 바닥에 있는 물체를 들어 올릴 때는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무릎을 굽혀 몸의 중심을 낮추도록 한다. 작업자의 신체 능력을 고려하여 무게와 이동 횟수를 조절하고, 물건이 무겁거나 작업 횟수가 많은 경우 보조기구나 동력장비를 이용한다.

 

 진동 전달 방지

 국소 진동은 주로 동력 공구를 손으로 잡고 일할 때 손, 팔, 어깨에 진동이 전해지는 것처럼 몸의 일부에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이다. 예초기가 가장 대표적인 국소 진동 공구이다. 트랙터, 콤바인, 경운기 등의 동력 기계에 앉아 있거나 서 있을 때, 전신 진동으로 허리 통증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진동 기계를 손으로 잡고 사용할 때 특정 부위에 전파되는 국소 진동은 손가락 말초혈관 순환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신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손작업 공구를 사용할 때 진동방지 장갑을 착용하면 작업 관련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작업공간의 인간공학적 개선 

 작업 높이와 거리를 고려하여 자연스러운 작업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발판을 사용하거나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한다. 자주 사용하는 도구는 손이 닿는 거리에 배치하고, 작업 높이를 팔꿈치 높이나 약간 낮게 조정하면 목, 어깨, 허리 등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작업 전후 운동과 체조 

 적절한 운동과 체조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통증 치료 방법 중의 하나이다. 통증이 없더라도 작업 전과 후에 체조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