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Heatwave)은 비정상적인 고온 현상이 수일에서 수십 일간 지속되며 인적 및 물적 피해를 발생하게 하는 재해를 말한다.
폭염 주의보는 일 최고 체감 온도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경우 발령하고, 폭염 경보는 일 최고 체감 온도 35℃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 될 경우 발령한다.
체감 온도는 무엇일까? 기온에 습도, 바람 등의 영향이 더해져 사람이 느끼는 더위나 추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다. 폭염 특보의 체감 온도는 습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 농업인 온열 질환 자율 점검 체크 리스트
|
단계 |
주요 내용 |
네 |
아니오 |
|
작업 전 준비 |
▷체감 온도 당일 기온, 습도 등 여름철 체감 온도를 확인했나요? |
□ |
□ |
|
▷음료 준비 농업 현장에서 충분히 마실 수 있는 시원하고 깨끗한 물이 준비되었나요? |
□ |
□ |
|
|
▷그늘/바람 작업 현장 근처에 휴식할 수 있는 그늘, 냉방장치(선풍기 등)가 있나요? |
□ |
□ |
|
|
▷개인 보호구 챙이 넓은 모자와 밝은색의 헐렁한 작업복을 입었나요? ※보냉장비(아이스조끼, 아이스팩, 아이스 넥밴드 등)을 챙기셨나요? |
□ |
□ |
|
|
▷작업시간 조정 더운 시간대(낮12~17시) 작업을 최소화하고 작업 일정을 조정하나요? |
□ |
□ |
|
|
작업 중 점검 |
▷물 섭취 매 15~20분마다 적절한 물을 섭취하고 있나요? |
□ |
□ |
|
▷휴식 최소 1시간 작업 후 10~15분간 그늘에서 휴식하고 있나요? ※체감 온도가 33℃ 이상인 경우 매 2시간 이내 20분 이상 휴식하고 있나요? |
□ |
□ |
|
|
▷강도 조절 더운 날씨의 경우, 작업 강도를 조정하거나 자주 교대하나요? |
□ |
□ |
|
|
▷경고 체계 체감 온도가 35℃ 이상 높아지면 강도 알림(휘슬, 방송 등)을 통해 즉각 작업 중단과 휴식을 취하도록 알렸나요? |
□ |
□ |
|
|
▷작업별 휴식 조정 장시간 농기계 운전, 밀폐된 비닐하우스 작업 등 더위 노출 작업 후 휴식을 하였나요? |
□ |
□ |
|
|
▷증상 체크 온열 질환 증상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있나요? ※발열, 두통, 어지러움, 메스꺼움, 근육경련, 발한, 구역질, 피로감 등 |
□ |
□ |
|
|
작업 후 관리 |
▷수분 보충 작업 후에도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있나요? |
□ |
□ |
|
▷휴식 및 회복 작업 후에 샤워를 통해 체온을 낮추고 서늘한 환경에서 휴식을 하나요? |
□ |
□ |
|
|
추가 권장사항 |
▷순응 폭염 기간 처음 며칠은 짧고 가벼운 작업으로 체온 적응을 유도하나요? |
□ |
□ |
※여러 사람이 일하는 경우, 안전관리 책임자(경영주)가 위 사항을 매일 점검해야 한다.
농업인 안전 정보와 체감 온도 확인은 농업인 안전 365 (https://farmer.rda.go.kr)
<자료 제공 :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농업인안전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