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쌀 한 포대(20kg) 가격은 4만1,185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 5만4,758원보다 24.8% 하락했다.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내놓은 1977년 이후 45년 만에 최대폭이다.

추가 시장격리 등 쌀값 안정대책을 촉구하는 농민들의 항의가 이어지고 있지만 정부는 금년도 작황 조사를 토대로 쌀 수급 안정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얘기만 되풀이하고 있다. 국회 차원에서 쌀값 안정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지만, 여야 간에 신·구 정권 책임 논쟁만 가열될 뿐 속 시원한 대책은 합의되지 않고 있다.

하루하루 농민들의 속이 시커멓게 타들어가는 가운데 최근 경기도가 ‘경기미’ 를 사용하는 식당에 구매 차액 100%를 지원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된 식품산업 지원 방안을 발표해 주목받고 있다. 현재 쌀 가공업체와 전통주 제조업체에만 경기미 구매 차액의 50%를 지원하고 있는데, 내년부터는 지원대상을 “경기도 내에 주소를 두고 지역에서 생산 가공된 쌀을 조리하는 음식점” 까지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경기도의 이번 조치는 쌀 추가 시장격리와 같은 중앙정부 차원의 쌀값안정대책 시행을 마냥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지방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역에서 생산된 쌀 소비 촉진 정책을 추진해 안정적인 쌀 생산기반 확보와 농가소득 향상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미 몇 년 전부터 전국의 지자체와 농업기술원에서는 지역의 기후와 토양에 맞으면서 ‘맛좋은 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출시된 일부 신품종쌀의 경우 소비자평가 단계에서 뛰어나 밥맛 등 상품성을 인정받았지만 기대한 만큼 소비확대는 이어지지 않고 있다. ‘고시히카리’ 와 같은 일본산 품종이 ‘맛있는 쌀’ 이라는 소비자의 생각까지 변화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홍보부족을 탓하지만 이미 수십종이 넘는 신품종쌀 속에서 특정 지역의 신품종쌀이 살아남기는 어렵다. 경기도의 새로운 시도처럼 신품종 쌀의 지역 내 소비 확산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정책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