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물가 폭등 사태를 겪고 있는 요즘이다. 특히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후 국제적인 곡물가격 상승세가 심상찮다. 그러나 유독 우리나라는 반대다. 국민 먹거리의 으뜸으로 치는 쌀 가격이 바닥을 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쌀값은 20kg 한포대 4만원 중반대를 형성하고 있다. 지난해 5만~6만원에서 무려 1만원 이상 떨어졌다. 정부가 2차례에 걸쳐 27만톤을 시장격리 했지만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새정부의 농식품부는 전정부에 이어 추가 시장격리와 함께‘분질미’와 같은 밀가루 대체수요 확대방안을 통해 가격이 안정되길 바라고 있다. 일견 밀가루를 대체할 대규모 쌀가루 생산과 소비증대가 현실화 되면 효과가 있을 것이란 기대도 있다. 그러나 밀가루를 주원료로 하는 빵 소비가 획기적으로 늘어나지 않는 한, 국민 식생활 양상이 빵으로 옮겨가지 않는 한 그 효과는 미미할 것이란 판단이 많다.

다시말하면 국민 식생활이 서구형으로 바뀌지 않는 한 분질미 효과는 없을 것이고, 이대로 가면 당장에 도래하는 수확기에 쌀값 대란이 현실화 할 것이란 판단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여당인 국민의힘 소속 최춘식 의원이‘정부 양곡창고가 많이 비었으니 추가적인 쌀 시장격리를 실시해 쌀값 하락을 막아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최 의원은 농식품부 자료를 분석해보니, 현재 정부 양곡창고가 33%만 차 있는 상태인 바 196만7천톤을 더 채울 수 있다고 했다. 창고에 여유가 있으니 시중에 돌고 있는 쌀을 추가로 격리하면 당장의 쌀값하락을 막을 수 있다는 생각인 것이다. 여기에 더해 시중의 쌀을 군용이나 복지용, 학교급식, 수출 다각화 등으로 활용하면 더 효과적인 대책이 될 것이라고 했다.

최근 기상상황 등 여건을 보면 올해도 지난해와 비슷한 쌀 생산량을 보일 전망이다. 시중에 돌고 있는 쌀 유통량이나 재고량을 감안하면 수확기 쌀값 대란은 당연지사다. 이것이 수확기 전에 추가로 시장격리를 시행해야 하는 이유다. 한 달여 후엔 새쌀이 쏟아진다. 그 때 가서 판단하겠다면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대한 책임은 오로지 정부가 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