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 농촌지도자 출신 102명 출사표… 범농업계 500여명
“인력숙소 건립·농특산물 보상제·고령농 전동차 지원” 등‘현장속’공약

 

 

 ‘잘살아 보세’. 농촌·농업에 퍼지는 지방선거 공약들이, 1970년대 전개됐던 새마을운동 구호와 흡사하다. 농촌지도자, 즉 농업을 평생의 직업으로 살아온 농민들이 이번 6·1 민선8기 지방선거에 대거 출마했다. 이들은 예외없이 불안한 농업·농촌·농민을 지키는 보호장치로써의 농정공약을 내걸었다. 농가소득을 보장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잘 살아보자’는 목표가 지역별 다양한 특색을 띠고 출발점에 섰다.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는 최근 농촌지도자 출신 6·1지방선거 출마자를 집계한 결과, 광역·기초 자치단체장(도지사·시장·군수) 5명, 지역구 광역의원(광역시·도) 23명, 지역구 기초의원(시·군·구)74명 등 총 102명의 후보자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포괄적으로 아울렀을 때 농업계 출신은 이보다 많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내논 후보자명부에 따르면 선거별 구분없이 국회의원 보궐선거까지 등록된 후보자 총수는 7천 616명이고, 이중 직업을 ‘농업’ ‘농림업’ ‘농축산업’ ‘축산업’ 등으로 기재한‘농민 후보’는 456명으로 약 6% 비중이다. 농촌지도자회, 농업경영인연합회, 농민회총연맹 등 농민단체 출신별 후보자수를 집계해 교집합을 구분한뒤 합치면 규모가 맞는다.

직접 농사짓지 않고 농업관련 업종이나, 정당인으로서 농사일을 겸하고 있는 후보자까지 더하면 500여명에 이른다는 분석이다.


이들 농민 출신 후보자들이 지역사회 활력으로 내놓은 공약들은 대부분 열악하고 불안한 농업현실이 근간이다. 우선 농촌지도자는 생산자조직 차원에서 치솟는 생산비를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 등 10대 농정공약을 마련해 전국 시·군·구 후보자들에게 자료로 전달했다. 지역 여건에 맞는 공약을 내세우기에 앞서 농정현안에 공동으로 대응하는 집중력을 높인다는 기대치가 깔렸다. 


농촌지도자회의 10대 농정공약은, △지방 농업재정 예산 확대 및 지역 푸드플랜 구축 △(농가소득 보장) 주 농산물 최저가격 보장 제도 확립 및 시행 △(농가소득 보전) 농업 생산비 지원대책 수립 △농산물 유통혁신 및 가공사업 육성 △농업인 일손 경감 대책 수립 △농촌교육 및 복지제도, 생활환경 개선 △여성농업인 지원 강화 △농업기계 임대사업 활성화 및 밭작물 기계화 촉진 △FTA 대응 농업경쟁력 강화 특별 지원 조례 제정 △중장기 지역 농정 발전 전략 수립 등이다.


‘농민 후보’ 들의 현장 공약은 중앙정부의 국정과제가 가지로 뻗어서 세밀하고 구체적이고 맞춤형이다. 농촌지도자포천시연합회 회원이자 포천시장 후보로 나선 백영현씨는‘우리농업은 생명, 미래를 준비하고 앞서겠다’고 타이틀을 내걸었다. 급등하는 비료가격 차액을 보상하고, 농촌 융복합산업을 관광자원화하겠다는 포천지역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강원 철원 군의원으로 출사표를 낸 박기준씨 또한 농촌지도자철원군연합회 전 사무장이다. 박 후보자는 농로 포장, 용배수로 정비, 농산물 최저가격 보장지지, 농업 보조사업 자부담 비율 축소 등 마을단위‘생활 농정’을 약속했다.


농촌지도자진안군연합회 현 감사를 맡고 있는 김용상씨는 군의원 후보로 등록했다. 농산물 특화품목을 대상으로 상한제(보상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지자체에 온라인 마케팅 및 해외마케팅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어르신(고령농) 이동수단 전동차 지원을 늘리겠다는 공약 등을 밝혔다.


경북 상주시의원으로 출마한 성성호씨는 상주시 낙동면 농촌지도자회 총무 출신이다. 성 후보자는‘농민이 바꾸는 살기좋은 농촌’을 캐치프레이즈로, 농촌지역 잉여자원을 활용한 지역소득 증대에 힘을 쏟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지역 연계형 인력숙소를 짓고, 교량이나 도로를 정비해 농촌지역의 가치 증대를 높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광역단위 시·도지사선거에서도 농정공약 대결은 눈에 띤다. 경기도지사 선거전의 경우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후보의 농업관련 공약은‘미니대선’으로 간주될 만큼 굵직한 사안이다. 


김은혜 후보는 생산비 폭등의 현장 고민을 우선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정책자금 규모를 늘려 농사짓는데 필요한 농자재값·사룟값을 지원해준다는 복안이다. 


이에 맞서 김동연 후보는 소멸위기에 처한 마을을 살리기 위해‘농촌기본소득’을 긴급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경제생활을 보장해준 다음, 다른 문제를 다룰 방침이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