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사와 시장·군수, 기초·광역의회 의원을 뽑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지방선거는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의원을 지역 주민 스스로가 선택한다는 의미에서 풀뿌리 민주주의의 축제로도 불린다.

하지만 이번 6·1 지방선거는 대통령선거 후 불과 3개월 만에 치뤄지다보니 중앙정치 이슈에 묻혀버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0.73%라는 역대 최소 격차로 승부가 갈린 대선 결과로 인해 거대 정당은 각각‘국정 운영 동력’확보와‘윤석열 정부 견제’를 내세우고 있다. 중앙정치 바람 속에 지방선거 출마자 경쟁률은 1.8%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단독 출마로 무투표 당선이 확정된 당선자도 총 494명으로 4년 전에 비해 5배나 증가했다. 반면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수십년 동안 중앙정부의 정책과 예산배정에서 홀대를 받아온 농업·농촌의 발전에 자치하는 자치단체장과 의회의 역할은 날로 중요해지고있다. 지자체장과 의회 의원들의 농업발전에 대한 관심과 노력여부에 따라 농민수당 제도의 도입 시기와 액수가 다르고, 농약과 비료 등 농기자재 반값 지원, 유류비 인상 차액 지원, 지역 농특산물 판로 확대와 농촌노동력 확보 등 농업과 밀접한 현안에 대한 정책 시행과 성과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는 농촌지도자회 출신 후보 102명 등 총 500여명의 농업계 후보가 출마했다.

물론 농업계 출신 후보라고 무조건 농업발전을 위해 일할 적임자라고는 할 수 없다. 실제 기존 직업군의 후보들 중에도 농업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온 후보들이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농업과 농촌, 농민이다. 역대 최악의 피해가 예상되는 CPTPP 등 수입개방 협상에 맞서 농민의 편에 설 후보인지, 농업예산을 늘리고, 농민과 농촌을 위한 정책을 펼칠 능력을 갖췄는 지, 꼼꼼하게 살펴보고 판단해야 한다. 지연과 학연 등에 현혹됨 없이 유권자인 농민의 힘을 보여줘야 한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