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자재 시장 1조원 추정
400여 업체 대부분 영세규모
해외시장 공략 위해 지원 절실

 

 

 

 

사육환경 모니터, 빅데이터 분석, 원격 자동제어 등‘축산 스마트팜’이 주목을 받고 있지만 정작 스마트 축산을 가능케 할 정보통신기술(ICT)과 축산기자재산업 기반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현에프앤씨 이성호 대표는 15일 에이티(aT)센터에서 열린 축산 스마트팜 설명회에서 이같이 지적하며 축산기자재산업이 축산 아이시티 융복합 확산과 보급사업, 기술개발, 정부 지원 등을 통해 해외시장에서 활로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전문서비스 로봇기술 등을 핵심으로 한 4차 산업에서 우리나라는 딥 러닝이나 관련 반도체 부문은 선두권에 있고 나머지 대부분 세계 5위권 밖에 있다”라며 특히 스마트 축산을 위한 아이시티는 일부분을 빼면 아직 초보 단계에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지원하는 축산 아이시티 융복합 확산산업의 경우 광역자치단체의 지원 여부에 따라 성과가 들쑥날쑥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무역협정(FTA)이행지원금을 재원으로, 돼지 1천 마리, 닭 3만 수, 낙농과 한우 50마리, 오리 2만 수 미만 농가 등을 대상으로 한 이 사업은 국고보조 30%, 국고 융자 50%, 자부담 20%로 진행하는데 경기, 충북, 제주 등은 지방비 보조가 추가된 것으로 알려졌다.


축종별 아이시티 장비 보급도 전반적으로 보급률이 저조한 가운데 장비별, 지자체별 보조율에 따라 실제 장비 보급률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급이기와 발정탐지기 보급률이 각각 22.65%, 22.16%로 20%를 넘겼고, 폐회로티브이(CCTV)는 17.12%, 환경제어기는 14.42%로 나타났다. 착유기와 환경정보 수집기 보급률은 5% 정도이며 중량측정기, 음수 관리기, 사료빈 관리기, 분만 알림이 등 대개 아이시티 장비 보급률은 0.3∼2.7%에 그쳤다. 


발정탐지기의 경우 보조율이 높은 경북 지역 축산농가의 장비 보급률이 월등히 높고, 폐회로티브이(CCTV)의 경우는 전남이 보조율이 높은 만큼 보급률도 높게 나왔다.


이성호 대표는 축산분야 아이시티 장비 보급 관련 문제로 △영세기업의 사후관리 지연 △장비업체 파산으로 인한 농가 피해 발생 △보조사업과 현금구매에 따른 가격 차별 △데이터 수집·공유 등의 기술적 한계 △체중측정 장비 부족 △시설구조에 맞는 합리적 설치기준 부재 △자동화와 아이시티 기능의 필요성 논란 △이용자의 활용역량 부족과 현장교육 미진 등을 꼽았다.


실제로 축산기자재 관련 업체는 400여 개에 달하는데 70% 이상이 종업원 7명 미만, 자본금 10억 원 미만의 영세규모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대표는 축산 스마트팜에 걸맞은 아이시티 개발과 기자재산업 육성이 관건이라며 국내시장이 협소한 상황에서 축산농가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기자재산업 육성을 통해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국축산환경시설기계협회에 따르면 축산기자재 국내시장 규모는 1조 원으로 추정되며, 2020년 축산기자재 수출액은 약 420억 원 수준으로 2010년 207억 원에 견줘 두 배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