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중계 -  경기도 경축순환농업 현황과 추진방안

 
연간 1천만 톤 배출, 상당량‘갈 데’없어
화옹지구 등 간척지에 퇴·액비 살포 계획
화학비료 대체 신형 축분퇴비 개발 박차

 

경기도 축산업은 대한민국 전체의 20% 비중을 차지한다. 도시화 진전에 따라 농지는 많지 않다. 경종·축산의 순환고리가 매끄럽지 않다는 의미다. 가축분뇨 배출량이 연간 1천만 톤에 육박하고, 퇴비나 액비를 만들어도 뿌릴 데가 마땅찮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농정관계부서에 가축분뇨 자원화와 경축순환농업 활성화에 관해‘특명’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일 경기도농수산진흥원, 경기도 민·관·정·연 연석회의 주최, 지역사회연구원 주관으로 제1차 경기농정포럼이 안성 송영신목장에서 열렸다. ‘경기도 경축순환농업 현황과 추진방안’이란 주제로 열린 현장포럼을 중계한다.

 

 


“가축분뇨 에너지화 시설에 국비 지원 필요”

 

주제발표   김기종 경기도 친환경농업과장

 

가축분뇨는 다량 배출되나 체계적으로 관리되는 비율은 34.6%에 불과하다. 가축사육 마릿수와 분뇨는 늘고 농지는 줄기 때문이다. 완숙퇴비는 비용문제로 시설 밭작물 위주로 사용하고 관리되지 않은 분뇨 대부분 밭에 살포하고 있다.


농경지 양분 수지가 높아 비료를 억제해야 하는 상황이다. 논 말고는 양분 적정치를 모두 초과했다. 축산농가는 저장공간이 부족해 가축분뇨를 밑거름용으로 밭 농가에 제공하는데, 경종 농가에서 화학비료도 추가하니 양분 과잉이 만성화됐다.


가축분뇨의 메탄가스 에너지화가 필요하나 경기도내 소형시설 3개, 연간 8만 톤 처리능력에 불과하다.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에 견줘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가로수, 공원, 녹지, 조경관리 등에도 화학비료를 쓰고 있다.


약 1천만 톤의 가축분뇨 중 관리가 미흡한 635만 톤을 정화방류, 메탄가스 추출, 완숙검증퇴비 등 다양한 처리체계로 개선하고 새로운 사용처와 신형의 축분 퇴비를 개발할 계획이다.


축종별로 분뇨 관리체계로 개편하고 2025년까지 340만 톤 처리시설을 갖출 필요가 있다. 한우와 젖소 분뇨는 완숙해 논에 뿌리고, 돼지 분뇨의 경우 에너지시설에서 메탄가스를 추출한 후 퇴비·액비를 생산하는 체계다. 산란계 분은 유기질비료로, 육계 분은 밭작물 완숙퇴비로 사용한다.


수요측면(경종)에서는 논에 자체적으로 살포하는 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논 농가의 축분 퇴비 수용도가 낮으므로 시범 농가에 운반, 살포, 갈아엎기까지 도비를 지원하고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살포 시기도 관리해야 한다. 비료 효과와 냄새 민원을 고려해 각 시·군 지자체 주관으로 10월∼11월에 밑거름을 주고, 모내기 2개월 전인 3월쯤에 하루나 이틀 집중적으로 뿌리고 갈아엎기까지 완료해야 한다.


가축분뇨 배출과 처리 전 과정을 순차적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해 관리함으로써 가축분뇨 이력관리제를 완성해갈 계획이다. 돼지 분뇨는 2017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운반 차량에 감시장비가 부착돼 중량, 위치, 인수인계 정보 등이 수집, 관리된다. 제주도는 소, 닭 분뇨에 대해 지난해 5월부터 시범 추진중이다.


직불금이나 공공비축미와의 연계 가능성도 타진하고 있다. 영농직불금 수급조건에 완숙퇴비를 면적당 일정량 이상 사용토록 하거나 차등 지급하는 방안을 농식품부에 건의했다. 공공비축미 수매가에 일정액 추가 지급하는 안도 같은 맥락이다.


바이오에너지 플랜트에서 가축분뇨와 폐기음식물 등 유기물의 혐기성 소화를 통해 생성되는 메탄으로 열 또는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이후 액비를 제조하거나 정화방류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그간 경제성이 낮고 혐오시설로 보는 민원 탓에 설비 확대가 지지부진한 만큼 국비지원과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 인상을 정부에 건의했다.


간척지 활용과 남북 경제협력, 공적개발 원조(ODA) 지원항목에 축분 퇴비를 추가하는 방안도 있다. 화옹지구 간척지는 양분 과잉문제가 없을 것이므로 연구용역을 통해 퇴·액비 사용방안을 찾을 것이다.


축분을 완숙, 건조해 냄새 없는 고체형 비료를 생산하고 이를 가로수, 공원 등 공공조림사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연간 474톤의 화학비료를 대체할 경우 고형 축분 비료 582톤 수요가 생긴다. 현재 남해화학과 기술협력을 논의하고 있다.


이렇게 하더라도 도시화와 도시민 유입으로 축산민원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농업인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으로 화학비료보다 시비량이 많은 축분 퇴비의 이용률이 저조한 문제도 있다. 순환농업의 한 고리인 농지의 절대 부족, 토양의 적정양분 유지문제도 피할 수 없다.

 

“경축순환농업, 공공프로그램으로 구축해야”

이날 포럼 참가자들은 가축분뇨 처리 또는 자원화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땅심을 살리려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경축순환농업에 관한 사회적 합의와 공공프로그램 구축도 강조했다.


김영수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경기도 축산의 현황과 과제’발표를 통해 환경과 조화되는 축산업이라는 지향점을 제시하면서 2025년까지 마을형 퇴비자원화시설 28개소를 확충하는 등 경축순환농업 촉진방안 세부계획을 마련해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현제 D2O 대표(송영신목장 공동대표)는 ‘경축순환 스마트팜 낙농 활용사례’발표에서 “현재 기술로는 분뇨 배출속도가 퇴비 부숙 시간보다 훨씬 빨라 축산농가들이 곤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며 자신의 농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쇠똥구리 방식’을 소개했다. 쇠똥구리가 소똥을 경단으로 만들 듯이 완숙퇴비를 만들어 압축 포장해 보관하는 방식이다.


주제발표에 이어 조영무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김상기 경기도친환경농업인연합회장, 이경아 성남소비자시민모임 대표, 소호섭 경기도농업기술원 기후환경팀장, 김덕일 경기도 먹거리위원회 민간위원장 등이 토론에 나섰다.


이들은 경종과 축산농가뿐 아니라 도시 소비자들이 축산물에 관심을 쏟는 만큼 축산환경과 경축순환농업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