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총선이 가까워짐에 따라 농업계 또한 공약 요구와 후보 만들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농민단체들은 올 초부터 국회 여야 정당을 향해 농업계가 요구하는 핵심공약을 천명했다.


한편으로, 준연동형비례대표제의 시행은 농업계의 정계진출에 비상구로 활용되고 있다. 공직선거법이 당초 취지에 안맞게 ‘위성비례정당’을 탄생시키는 웃지 못할 일을 빚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농업분야 인사, 즉 농민 출신들의 출사표가 동시다발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거대 여야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은 관례대로 비례대표 농어업분야 지분을 설계하고 있다. 물론 미래통합당은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을 통해 비례대표 신청을 받고, 선정작업이 진행중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최종 21명의 일반경쟁분야 비례대표 후보자에 2명의 농어업분야 인사를 배정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1석은 무난할 것이란 관측이다.


정의당이 14번 비례대표에 농업명부를 올렸다는 점이 눈에 띤다. 비례대표 14번까지 당선이 확실시된다는 분석 아래, 14번에 농민 출신을 배정한 것이다. 이리되면 대부분 농업을 위한 ‘직능 국회의원’으로 4년간 농정활동을 벌이게 된다. 농업계 의원으로 상징성을 갖는 것이다. 각 정당별 직능 의원이 존재할 경우, 여론을 반영한 농업정책은 현재보다 훨씬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같은 ‘진짜 농민 편’ 국회의원의 탄생은 민중당에서도 엿보인다. 원내 1석인 민중당은 정당득표율 4% 안팎을 예상하고 있다. 셈하면 비례대표 2~3석이 가능하다는 진단이다. 비례대표 2번을 농민전략명부로, 등원 채비를 하고 있다. 당선될 경우 농업계의 강력한 여론 출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지역구를 제외하고 비례대표만 총 3~6석의 농민출신들이 여의도에 짐을 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농민단체들이 제시한 핵심농정공약이 조속히 실천될 수 있도록 제21대 국회 개원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