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25개월 준비…연령 낮을수록 짧아

귀농 5년차에 이전 소득 88.5% 수준 회복

지역민과 융화…“문화·체육시설 확충” 원해

귀농·귀촌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귀농가구의 40%는 관련 교육을 받지 않고 농촌으로 향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 사이 4천167개 귀농·귀촌 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귀농 준비에는 평균 25.1개월이 소요됐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준비 기간이 짧았다.

귀농·귀촌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은 귀농가구의 경우 59.9%였고, 귀촌가구는 21.1%에 그쳤다.


귀농·귀촌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귀농가구의 27.3%, 귀촌가구의 41.7%가 ‘정보 획득의 어려움’을 꼽았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10가구 중 7~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농촌생활 경험이 있는 경우라고 설명했다. 반면 귀촌가구의 31.9%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귀농 1년 차 가구소득은 평균 2천828만원 이었으며, 귀농 후 5년 차에는 3천895만원으로 증가해 귀농 전 소득인 4천400만원의 88.5% 수준까지 회복했다.


이에 비해 귀촌 1년 차 가구소득은 평균 3천279만원이었으며, 귀촌 후 4년 차에는 4천58만원으로 증가해 귀촌 전 소득인 4천38만원을 넘어섰다.
지역 융화에 대한 질문에는 귀농가구의 74.7%, 귀촌가구의 56.1%가 “좋다”고 응답했다.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지 않다는 비율은 귀농가구 1.4%, 귀촌가구 1.5%로,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의 충돌’ ‘마을 공동시설 이용 문제’ 등을 불화의 이유로 꼽았다.

확충이 필요한 공공서비스로는 문화·체육 서비스라는 답이 가장 많았고, 취약계층 일자리, 노인돌봄 서비스, 교통 서비스 등이 뒤를 이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귀농·귀촌 맞춤형 정책지원에 나설 계획으로, 우선 교육 지원을 강화하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지역의 귀농귀촌 교육을 중점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