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8일 20대 국회 농해수위 마지막 상임위가 개최됐다. 상임위 소속 의원들은 코로나19로 인한 농산물 소비감소와, 이로인한 농산물 수급불안에 초점을 맞춰 물음이 이어졌다. 김현수 장관은 농산물 가격 등락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여러번 답했다.


그런데 ‘최소화’란 낱말이 귀에 익다. 김 장관의 활용도 높고 효율성 좋게 치는 ‘최소화’. 김 장관은 지난해 취임과 동시에 별다른 취임 격식을 빼고, 곧바로 예산 사과농장으로 달려갔다. 나주의 배농장도 다음날 방문했다. 태풍 ‘링링’ 상륙을 앞두고 걱정이 많은 농가들을 격려하기 위해서였다. 그 자리에서 김 장관은 “수확시기가 도래한 배 등 과실류는 태풍이 상륙하기 전 조기 수확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여기에 보태, 소비 감소와 재고부담으로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낯선 단어 ‘최소화’는 이후 친근하게 다가왔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가축질병 발생 최소화’ ‘외식업계·수출업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코로나19 사태와 관련 농식품 분야 피해 최소화’. 이쯤되면 ‘최소화’가 갖는 행정적 효율성을 따지지 않을 수 없다. 말그대로 ‘최소화’는 기준이 정해지지 않고 방향성만 가르킨다.


김 장관의 ‘최소화’가 곁들인 각종 약속은 그 방향으로 노력할 뿐, 책임소재가 분명한 목표가 없다. 그래서 ‘농산물 수급에서 가격등락폭을 최소화하겠다’는 뜻은 농산물 수급이 어느정도 안정이 될지 모르는 일이다. 가축질병 발생을 최소화한다는 것은, 아무 비교대상이 없고, 얼마만큼 발생해야 최소인지 모호하다. 그때그때 논리적 서술과 비교군을 잘 맞추면 최소화가 되고, 아주 잘한게 된다.


김 장관은 농식품부 행정수반을 떠나,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농업계가 보유하고 있는 보물이다. 끊임없이 자신의 공약에 접근하는 현장마다, 농민의 생명을 쥐락펴락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최소화’라는, 농민이 모호하게 생각하는 단어를 지양하기 바란다. 행정에 편한 단어일수록 국민이 어렵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