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보다 3천만 원 증가, 미허가축사 적법화 투자

낙농육우협회, 2019 낙농가 경영실태조사결과 발표

코앞 닥친 ‘퇴비부숙도 검사 의무화’ 현안으로 꼽아

낙농가의 호당 평균부채가 2019년 10월 기준 3억6천7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에 견줘 3천만 원이 늘어난 금액이다. 미허가 축사 적법화에 따른 시설투자로 부채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조석진)는 농협경제지주와 낙농조합의 협조를 얻어 지난해 7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 4개월에 걸쳐 ‘2019 낙농경영 실태조사’를 벌였다.
연구소는 전체 낙농가의 약 10%에 해당하는 700호의 표본농가를 선정,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기재 내용이 부실한 표본을 제외한 575호의 조사결과를 분석했다고 알렸다.


낙농 경영주 60대가 가장 많아

경영주의 연령분포는 2019년 기준 60대가 40.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50대(30.4%), 40대(12.6%), 70대(6.0%) 등으로 나타났다. 50대와 60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60대∼70대 이상 경영주는 2015년 34.2%에서 2019년 46.7%로 증가했다. 전체 경영주 절반에 가깝다. 경영주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낙농가의 평균경영기간은 11∼20년이 15.5%, 21∼30년이 31.3%, 31∼40년이 32.9%, 41년 이상이 3.4%로 나타났다. 30년을 초과한 농가가 36.3%나 되고, 20년을 넘은 농가는 67.6%에 이른다. 낙농가 셋 중 둘은 20년 넘게 종사해온 셈이다.
후계자 유무의 경우 낙농가 셋 중 하나(32.9%)가 ‘후계자가 있다’고 답했으며, 아직은 없으나 육성계획이 있다고 답한 농가도 24.8%에 달했다. 후계자도 없고, 육성계획도 없다고 답변한 이는 26.6%로 나타났다. 후계자가 있다고 응답한 농가 비중은 2018년 38.6%에 견주면 다소 줄었다.

경영주의 경영 햇수

 

 

시설투자, 쿼터매입이 부채 원인

낙농가 호당 평균부채는 3억6천706만 원으로 나타났다. 전년인 2018년에 견주면 약 10%포인트, 3천6만 원이 늘어난 것이다.
특히 2억 원 이상 고액부채비율이 2018년 53.2%에서 2019년 68.5%로, 15.3%포인트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발생 원인으로는 시설투자(39.0%)와 쿼터매입(26.3%) 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시설투자로 인해 부채가 발생한 농가의 구체적인 시설투자 내용을 보면, 축사 개보수(30.6%), 세척수(11.3%), 분뇨처리(10.1%) 등이다. 미허가 축사 적법화를 위한 시설투자에 따라 부채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쿼터매입에 따른 부채 발생에도 불구하고 2018년 대비 5.3%포인트가 증가한 62.1%의 농가에서 ‘공쿼터’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쿼터는 생산량이 쿼터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다. 반면 쿼터량보다 생산량이 많은 ‘잉여유’ 발생 농가는 28.2%로, 전년 대비 4.1%포인트 줄었다.

표본농가의 생산량과 쿼터량 비교

 

 


목장경영 첫째 어려움은 ‘환경문제’

목장경영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환경문제(40.4%)가 꼽혔다.
다음으로 부채문제(23.4%), 여유시간 부족(13.8%), 건강문제(12.7%), 후계자 문제(6.8%)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 환경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한 농가는 59.0%에 달했다.

목장경영 어려운 점

 


이들이 직면한 주된 환경문제는 △환경개선을 위한 비용부담(66.5%) △수질오염 및 악취 등에 따른 민원 발생(27.3%) △기타(6.2%) 등으로 나타났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환경현안으로는 ▲퇴비화 시설(38.1%) ▲미허가 축사(28.7%) ▲세척수 처리(26.2%) 등이 꼽혔다.
올해 3월 25일부터 시행이 예정된 퇴비부숙도 제도의 영향으로 퇴비화 시설의 확충이 시급하다는 응답이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환경현안

 


낙농 미래, 대부분 ‘어려울 것’ 예상

자유무역협정(FTA) 하에서 향후 낙농에 대한 전망을 묻자 열에 아홉은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낙농의 미래와 관련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답한 농가 비중이 25.9%,‘어려울 것’이라는 응답은 66.4%에 달했다. 해볼 만하다는 농가는 7.1%에 그쳤다.


자유무역협정 하에서 필요한 낙농 대책으로는 △학교 우유 급식 등 단체급식 확대(27.7%) △국산유제품시장 육성(25.3%) △전국단위 낙농제도 개선(20.6%) △환경대책 마련(15.3%) △케이 밀크(K-MILK) 활성화(9.7%) 등이 꼽혔다. 단체급식과 유제품시장 등 소비대책의 중요성을 낙농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유무역협정 하에서 필요한 낙농 대책

 


낙농육우협회 조식진 낙농정책연구소장은“환경규제, 부채문제, 후계자 양성 등이 낙농경영의 주된 불안요인으로 파악됐다”며 “특히 안타까운 것은 낙농가 대다수가 낙농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