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씩씩거리면서 묻습니다.

"가는 호미 봤어?"

이럴 때 못 봤다고 대답해서는 곤란합니다. 답을 안 해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렇다고 보지도 못한 호미가 있을 만한 자리를 대충 지목했다가는 엉뚱한 사달이 날 수도 있고요. 급히 써야할 것이 눈에 보이지 않으면 일단 신경이 곤두서기 때문에 자칫 부부싸움으로 번지기 쉽습니다.

 보통 호미는 배가 불룩한데 비해 가는 호미는 갸름하고 끝이 거의 직각으로 꺾여 있는 모양입니다. 모종 심을 자리에 홈을 내는 데에 요긴하게 쓰입니다. 밭 이곳저곳에 두고 쓸 작정으로 세 개나 장만했는데 하나도 보이지 않으니 아내가 짜증을 낼만도 합니다.

 마치 바둑 두는 이들이 복기를 하듯 부부가 머리를 맞대고 마지막으로 호미를 썼던 자리를 열심히 떠올립니다. 제 딴엔 간신히 기억해 내서 한 장소를 외쳤더니 아내가 그건 며칠 전이었다고, 그 후에 다른 곳에서도 썼다고 툴툴댑니다. 이쯤 되면 별 수 없습니다.

모래밭에서 바늘 찾는 격으로 호미 수색에 나서며 제가 한마디 합니다.

"쓰고 나면 농막이나 창고에 가져다 놓아야지."

말을 뱉어놓고는 아차 합니다. 다행히 아내는 못들은 듯 휘적휘적 비닐하우스가 있는 밭으로 가버리는 군요. 하나마나 한 소리나 한 게 머쓱합니다.

덤바우는 평지가 아닙니다. 산비탈에 가까워 모든 밭이 계단식 다락밭입니다. 묏채가 모든 밭을 양분하며 낮게 흘러내려 일을 하려면 둘러 다녀야 해서 밭 사이의 거리가 꽤 되는 편입니다. 이 밭 저 밭으로 셀 수도 없이 오르락내리락 하다보면 농사가 아니라 등산이라는 푸념이 절로 나옵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베이스 캠프격인 모든 밭의 맨 위에 위치한 농막에 두고 온 것이라도 있을라치면 아주 고약합니다. 지금처럼 행방이 묘연한 손바닥만 한 호미를 물색하자고 온 밭을 헤매는 건 차라리 고난에 가깝습니다.

 저는 비닐하우스의 반대편 위 다락, 다듬다 만 양파와 마늘 심을 밭 수색에 들어갔습니다. 밭고랑에는 놓아둔 풀이 무성해서 맨 바닥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더듬더듬 몇 군데 짚어보다가 밭가에 둔 공구함에서 낫을 꺼내들었습니다.

어차피 베 눕힐 풀들인지라 정리하다 보면 호미가 불쑥 나타날 수도 있겠습니다. 한참 그러다 보니 호미 수색을 깜빡했나 봅니다. 아내가 밭 비탈을 오르며 막대기 하나를 흔들며 말합니다.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살아야지, 뭐.”

막대기로 구멍을 내가며 가을 채소 모종을 뚝딱 심고 온 모양입니다. 저는 답례로 낫을 허공에 몇 번 흔들어 보였습니다.       

 잃는 건 별로 없는데 잊는 게 너무 많은 생활입니다. 따져보면 부끄럽습니다. 자동차 열쇠 없이 차에 오르는 건 예사고, 밭가에 방치한 휴대폰을 강아지가 물어뜯은 바람에 망가진 적도 있습니다. 밭을 갈다보면 외짝 목장갑이 수두룩하게 발굴되는가 하면, 몇 해 전 잃었던 장도리가 새빨갛게 녹슨 모습으로 불뚝 일어서기도 합니다.

언젠가는 금빛 도장이 된 시계가 나온 적도 있는데, 다행히 우리 것이 아니었습니다. 덤바우의 오래 전 주인도 우리부부만큼이나 바쁘고 고된 생활을 했으리라 짐작합니다.

 농사는 진득하게 지어야 합니다. 서둘러서는 곤란해서 머릿속에 ‘천천히, 조금씩, 자주’라는 말을 새기고 또 새겨야 합니다. 늘 바쁜 사람이야말로 정말 게으른 사람이라는 말도 있듯이 형편과 때를 잘 가리는 안목이 있어야 합니다.

저나 아내나 그게 잘 되지 않습니다. 매양 서둘다가 엎어집니다. 아내는 치매증상일지도 모르겠다는데, 제가 보기에는 일에 적합한 습관을 아직 익히지 못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평생 밭 뒤적거리면 고대 유물도 발굴하게 될지도 몰라.”

“맞아. 유물들이 말이야, 죄다 옛적 분실물들일지도 모르지.”

호미는 까맣게 잊었는지 아내가 키득키득 웃으며 풀을 베 눕히는 군요.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