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북부 창궐, 강화 석모도 이어 한탄강 벗어난 양주까지

전문가들, 멧돼지·모기·진드기 등 총체적 역학조사 필요

 

 

 

‘<농식품부>양주시 은현면 양돈농가 ASF(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신고 1건 추가발생 알림. 9월26일 오후 6:18.’


26일 오후 7시를 기준으로 하루에 양주, 연천, 강화, 또 연천 등 총 4건의 ASF 의심신고가 접수됐다. 9월16일 파주 연다산동을 시작으로 열흘사이 7차에 걸친 확진 판결과 4차의 의심신고, 총 11차에 달하는 ASF 확산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4만여두의 사육규모인 강화도의 경우 예방적 살처분 대상까지 20~30%에 달하는 집단적 매몰 처분이 불가피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농가들의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원인파악에 나선 역학조사반은 아직 감염시기가 거의 동일하다는 점을 감안, 상호 관계파악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ASF 바이러스 잠복기가 최장 20여일임을 감안할 때 10월 5일 정도까지를 확산 여부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는 전언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26일 현재 연천군 청산면 소재 돼지농장 1개소(80여두)에서 의심증상(자돈 1두 폐사)이 발생했고, 양주시 은현면 농가(714여두)에서도 후보모돈 1마리가 폐사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인천 강화군 강화읍, 양주시 은현면에서 연거푸 돼지 이상증세가 신고됐다. 25일 접수된 강화군 삼산면 석모도에 위치한 농가 돼지에 대해서는 ASF으로 확진됐다.


농식품부는 우선 26일 12시까지 발령중이던 전국 일시이동중지명령 기간을 48시간 연장, 28일 토요일 12시까지 연장했다. 이 상태에서 모든 추가적 방역조치를 완료한다는 복안이다. 김현수 농식품부장관은 26일 농식품부 방역상황 점검회의에서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이지만 ASF이 연달아 발생해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과다할 정도의 소독 등 모든 방역조치를 철저히 수행하는 한편, 그동안 농장초소가 설치되지 않거나 축산관련 시설의 방역이 미흡했던 지역과 농가에 대해 한층 강화된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역학조사반에 따르면 비무장지대에서 멧돼지 사체가 연이어 발견되는 점, 인근 도축장 등의 차량 이동의 공통점을 갖고 있는 점, 곤충을 매개로 옮길 수도 있는 점 등 다각적인 분석이 시도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원인파악이 늦어지면서 정부에 대한 관련 전문가들의 제안이나 충고도 잇따르고 있다.

도드람양돈농협 정현규 박사는 “아직 관리범위안에서 발생 신고가 접수되고 있는 점을 보면, 정부의 방역대처가 상당히 실효를 거두고 있다고 판단한다”면서 “하지만 최초발생후 20일이 지난 10월 5~6일 이후 발생이 지속될 경우, 방역이 뚫렸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그때까지의 방역활동이 고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박사는 “구제역이 일반폭탄이라면 ASF는 핵폭탄급으로 비유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이미 퍼졌다는 가정 아래 중점관리지역 뿐 아니라, 그 외 지역도 고강도 방역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에서 수의병리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는 김인중 박사는 SNS를 통해 “ASF 전파는 직접 전파와 기계적 간접 전파, 진드기 같은 매개 곤충에 의한 전파까지 다양하다”면서 “멧돼지, 외부에서 유입된 축산식품 등에 의한 가능성과 더불어 파리, 모기, 진드기, 살처분된 동물을 접촉한 쥐 등도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서울대 수의대 우희종 교수는 “지금 남북의 상황에서 북한 방역 수준을 고려할 때 ASF가 북한의 풍토병으로 자리잡았다고 볼 수도 있다. 국제 제제 속에 방역의 시한폭탄을 늘 옆에 두고 있는 셈”이라면서 “접경지역의 방역과 전국 확산 여부가 당장 중요한 문제이긴 하지만, 장기적으로 ‘남북 방역공조’에 대해 국가 방역 구상 차원에서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