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혁신밸리 교육?연구단지로 키울 터”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이 농업계가 우려하는 생산단지 조성 사업이 아니라, 교육?연구, 기술개발 등이 주요 목적이 분명하다는 정부측 설명이 나왔다. 혁신밸리 내 생산단지에서 농산물 과잉생산 등 수급불안을 야기하지 않도록 농민단체가 참여하는 관리위원회 개념의 시스템을 가동한다는 복안이다.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실은 지난 20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부서 관련사업 기자간담회를 갖은 자리에서 스마트팜 혁신밸리 추진상황 설명과 함께 이같이 언급했다. 농식품부 윤동진 농업생명정책관은 “스마트팜혁신밸리는 세 개의 원이 돌아가는 트라이클이다. 본래의 혁신밸리 기능, R&D 프로젝트, 빅데이터 플랫홈 구축 등이다”면서 “혁신밸리 기능 또한 창업보육, 기술개발, 기술검증의 모듬형태로, 농업의 미래에 꼭 필요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윤 정책관은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에 대한 농민단체들의 반대의견과 관련, “스마트팜사업은 세계적 미래농업으로, 이미 한중일 경쟁적사업이 됐다. 2014년에 ICT와의 연계사업으로 시작한 한국은 가장 늦게 시작한 것”이라며 “지금으로선 혁신밸리를 더 건설할 계획이 절대 없다. 교육과 연구를 통한 체계화된 형태로 발전시키는게 정부의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윤 정책관에 따르면 혁신밸리는 앞으로 생산단지에 대한 생산과잉, 국내 수급을 우려하는 것에 대해, 중앙단위 협의체를 통해 품목을 논의하는데 농민단체의 의견을 반영키로 했다. 윤 정책관은 또한 혁신밸리에 대한 대기업 참여여부에 대해선, “기자재나 식품?바이오기업 등 스마트팜 실증단지에서 연구중심으로 참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농산물 생산에 직접 뛰어드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확답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경북 상주, 전북 김제, 경남 밀양, 전남 고흥 등 전국 4곳이 선정됐고, 2022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또 혁신밸리에서 완공때까지 500명의 청년인력을 양성한다는 목표아래 이달 초 총 104명의 교육생을 선발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