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인 관점의 기술개발 및 적응효과 기대

KREI,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축산식품 대응전략 보고서

기후변화에 대한 농업생산기술의 취약성을 분석한 결과, 쌀은 기후변화로 인해 잠재수량이 감소하고, 채소류는 최적 중간재 투입량과 농가경영비용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축산식품부문 영향과 대응전략’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신기후체제 이행에 따른 경제적 효과와 기후변화 대응수단의 수용의향 및 애로사항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로드맵을 통해 농축산식품부문의 대응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곡물류의 경우 잠재생산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적투입재량과 생산관리 비용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개발 정책수립에 있어 품목별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축산의 경우도 비슷한 결과가 도출됐다. 무창축사의 비중이 높은 육계와 산란계, 그리고 양돈의 사육규모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육우와 낙농의 사육두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따라서 축산의 경우도 축종별 대응전략을 차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농가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기술의 수용의향을 조사했다. 그 결과 벼 농가의 경우 기술 도입 시 생산성 하락에 대한 우려가 가장 컸다. 시설재배 및 축산 농가는 초기 설치비와 가축분뇨처리비용, 경영비 상승 등 비용측면의 요소에 따라 수용의향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기후변화 대응 기술에 대한 농가 수용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기술 도입방법과 인식제고 관련 교육, 시설 및 운영비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지역별·품목별 기후변화 대응 적응능력을 평가한 결과, 쌀의 경우 경북·전남·충남 지역의 적응능력지수가 낮게 계측됐는데, 이들 지역 쌀 농가의 금융적 자본이 부족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채소의 경우 경기와 제주 지역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물리적 자본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수의 경우도 경남·제주·경기 지역을 제외하고 물리적 자본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량작물이 주로 재배되는 강원, 전북, 충청 지역의 경우 자연적 자본 혹은 물리적 자본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결과는 적응능력 제고를 위해서는 지역별·품목별 접근이 중요하며, 물리적 자본의 개선(예를 들어 ICT융복합 기술보급 지원)과 금융적 자본의 개선(예를 들어 농업재해보험확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유도한다.


연구진은 “기후변화의 리스크는 농축산분야에 분명 위기가 될 수 있지만, 새로운 품종과 적응기술을 개발하는 노력을 지속한다면 경제성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보다 나은 기술 개발의 기회가 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적응의 효과가 장시간에 걸쳐 먼 미래에 나타나기에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