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국 600여 개에 달하는 농축협, 수협, 산림조합 등 협동조합에서 이뤄지고 있는 채용업무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산림청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참여하는 ‘지역조합 채용 실태조사 특별팀’을 만들고, 직원 채용과 관련한 비리행위를 신고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홈페이지에 신고센터까지 설치해 꼼꼼하고 엄정하게 조사하겠다고 했다. 취업난에 시달리고 있는 청년들에게 불신과 좌절감을 안겨주고 있는 채용비리를 근절하겠다는 취지다.


정부는 지난 2017년과 2018년에 공공부문 기관단체에 대한 채용비리에 대해 실태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이 때 농어업부문 공공기관에서 채용을 청탁하거나 채용시험 과정에서 돈을 받고 문제지를 유출하고 시험결과를 조작하는 등 많은 비리가 적발돼 큰 사회적 이슈가 됐었다.

특히 채용관련 비리가 농어업계에 만연돼 있다는 사회적 인식이 퍼지면서 대다수 정직하고 성실하게 일하고 있는 직원들은 물론 농어업인에게 큰 상처를 입혔다. 따라서 정부의 이번 실태조사는 대단히 시의적절한 조치로 판단되며, 이번 기회를 계기로 농어업계의 자존심과 사회적 신뢰도를 회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다만 지난 두 번의 조합장 선거과정에서 드러난 저급하고 지저분한 농어업계 선거문화(?)가 여전히 만연돼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조합장 등 고위직들이 왜 그토록 불법을 저지르면서까지 권력을 쥐려고 하는지 이유를 들여다보면 대체로 ‘무소불위’의 권력에 있다.

일반적으로 채용비리는 고위임원에 의한 ‘권력행사’에 기인한다고 볼 때 그들이 쥐고 있는 이른 바 ‘생사여탈권’에 따르는 크고 작은 채용비리가 충분히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는 농협이 이미 수 년간 ‘청념경영’을 강조해왔고 그동안 채용과 관련해 자체조사를 강화하는 등 제도개선을 해왔지만 여전히 심심찮게 채용비리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 그 방증이며, 그 중심에는 꼭 그들이 관여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과연 얼마나 많은 채용비리가 드러날 것인가, 그래서 농어업계는 또 얼마나 큰 상처를 입을 것인가 걱정스럽다. 하지만 고름은 반드시 짜 내야 뒷탈이 없는 법이다. 또 환자 스스로 고통을 참아내고자하는 결단과 인내가 없으면 재발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치부가 드러나는 것이 두려워 숨기거나 봐주려하지 말고 이번 기회에 반드시 고름을 짜 내길 바란다.

또 채용비리 뿐만아니라 다른 권력형 비리도 함께 조사해 일벌백계 하길 바란다. 이번 실태조사에 협동조합 내부 조직원 뿐만아니라 그 주인인 농어업인들도 적극 협조해서 다시는 상처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