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돈협회가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을 위해 정부의 실효성 있는 대책을 촉구하며 합당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대정부 투쟁을 불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9일 농식품부를 포함한 10개 부처가 합동 담화문을 통해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예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발표한 직후 양돈협회가 별도의 입장을 밝힌 것은 그만큼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국내 양돈업계에 끼칠 위험이 치명적이라는 반증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2018년 8월 중국에서 아시아 최초로 발생한 이후 몽골과 베트남, 캄보디아 등으로 확대되면서 국내 전염 위험성이 커져 있는 상태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위험한 이유는 100%에 달하는 높은 치사율에도 불구하고 현재 예방 백신이 없고 바이러스 생존력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냉장육 및 냉동육에서도 수년간 생존이 가능하고 가열 건조된 환경에서도 바이러스가 살아남아 감염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이다. 일단 국내에 바이러스가 유입되면 바이러스 박멸은 물론 확산도 막을수없기 때문에 국내 양돈산업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당장 양돈농가의 파산에서부터 관련 산업의 동반 몰락, 돼지고기값 상승으로 인한 국민 가계지출 증가 등 그 피해규모는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할 정도다.


현재 농식품부는 국경검역과 국내방역을 강화하기 위해 검역소 설치 확대와 돼지열병 발생국 여행자제, 여행 후 축산농가 방문자제, 발생국 축산물 휴대 및 국제우편을 통해 반입 금지, 잔반 돼지급여 중지 등의 대국민 캠페인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통일부는 최근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이미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과의 협력을 추진하고 있고 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신고 포상금을 대폭 상향하겠다고 밝혔다. 일단 합동 담화문 발표 이후 정부 관련 부처의 대응은 긍정적으로 평가할만하다.

다만 양돈협회의 우려처럼 정부의 대책이 선언적의미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국민적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데 더욱 집중해야한다. 일반 여행객들이 별다른 죄의식 없이 반입하는 불법 휴대 축산물로 인해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할 위험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중국 등을 다녀온 여행객이 가져온 돼지고기 축산물에서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 유전자가 14건이 검출된 것이 이런 위험성을 이미 입증하고 있다.

열 사람이 지켜도 한 도둑을 살피지 못한다는 말처럼, 아무리 검역을 강화하고 과태료를 올려도 일반 국민들의 자발적인 협조가 없이 완벽한 방역체계를 구축한다는 것은 어렵다.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국 해외여행 자제와 같이 하나마나한 얘기 대신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대국민 방역 참여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