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외래품종 64% 차지, 국산대체 총력

외래품종 벼 재배비중이 64퍼센트나 차지하는 경기도가 국산품종 재배비중을 2021년 51퍼센트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김석철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이 9일 기자회견을 열어 국내육성 벼 확대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일본 벼 품종 재배비중이 64퍼센트나 되는 경기도가 국내육성 벼 품종으로 대체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 현재 36퍼센트에 불과한 국내 벼 품종 재배비중을 2021년까지 절반 이상으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경기도는 지난 9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외래 벼 품종 대체 국내육성 벼 확대 재배계획’을 발표했다. 아울러 경기도농업기술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협경기지역본부, 경기도쌀연구회가 업무협약을 맺고 국내품종 대체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김석철 원장은 회견에서 “2021년까지 국내에서 육성한 벼 품종 재배비중을 36퍼센트에서 최대 51퍼센트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이어 “경기미의 상징성과 대표성을 볼 때 이제는 국내육성 고품질 품종인 참드림, 맛드림, 해들, 알찬미 등으로 대체해 종자주권을 강화할 시기”라며 “국내육성 품종 벼의 조기정착과 유통활성화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도 계획안은 오는 2012년까지 국산 품종 벼 재배면적을 현재 6천620헥타르에서 8천500헥타르로 10.9퍼센트 이상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경기도 벼 재배면적은 총 7만8천12헥타르인데 이 중 64퍼센트가 외래 품종이다. 특히 추청(아키바레), 고시히카리, 히토메보레 등 일본 품종이 대부분이다.


경기도내 벼 재배면적의 절반, 3만9천 헥타르를 차지하고 있는 추청은 1955년 일본에서 육성된 품종으로 병해충 저항성이 약하고 소비자 밥맛 선호도가 낮다. 9천600헥타르 정도 재배되고 있는 고시히카리는 병해충과 쓰러짐에 약하다.


김 원장은 “추청으로 품종이 단일화 돼 농업재해 발생 시 피해가 크고, 일본어 표기가 된 브랜드 유통으로 경기미의 이미지 하락 우려도 있다”며 문제해결을 위해 경기도와 농촌진흥청이 손잡고 2003년부터 밥쌀용 벼 신품종 육성에 노력해왔다고 밝혔다.


추청보다 밥맛이 좋고 병해충에도 강한 중만생종 ‘참드림’, 한수이북지역에서 잘 적응하는 중생종 ‘맛드림’, 추석 전에 출하가 가능한 조생종 ‘햇드림’ 등 고품질 밥쌀용 품종 개발과 보급이 그 결실이다.


지역별 특화브랜드 육성도 진행되고 있다. 이천시는 농촌진흥청과 공동 육성한 ‘해들’과 ‘알찬미’, 여주시와 화성시에서는 민간육성품종인 ‘진상미’와 ‘수향미’, 파주 안정 양평 연천 평택 고양 등지에서는 ‘참드림’ 품종을 지역특화브랜드로 육성중이다.


김석철 원장은 “농업기술원과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협경기지역본부, 경기도쌀연구회가 업무협약을 통해 안정적인 종자생산체계 구축, 재배매뉴얼에 의한 생산, 기술교육과 시범사업, 하나로마트 판촉행사 등 마케팅과 홍보를 유기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