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제.위 기능 강화제 등으로 악화 막아야

농촌진흥청은 젖소 분만 후 많이 발생하는 케톤증을 예방하려면 분만 전후 알맞은 영양 공급과 함께 혈액 검사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케톤증은 탄수화물(당분) 부족과 지방 대사 이상으로 체내에 케톤체가 정상보다 많이 늘어나는 질병이다. 식욕이 떨어지고 우유 생산량과 체중이 줄며, 경련 등의 임상 증상이 나타난다.


분만 후 젖이 나기 시작하는 6주 동안 케톤증 발생률은 5%로, 임상 증상이 없는 준임상형 케톤증을 포함하면 20%~40%에 이른다.
케톤증은 피와 오줌의 케톤체 수치를 검사해 진단할 수 있다.


농진청 연구 결과 혈액 내 케톤체가 임상 증상을 일으키는 수치(3,000μmol/L) 이상으로 오르면 혈액 내 포도당은 38.7% 떨어지고, 유리지방산은 358.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 감마글루타민전이효소 같은 간 기능 효소도 각각 61.8%, 180.7% 증가했다.


따라서 수의사의 정기적인 검사로 증상에 따라 포도당을 투여하거나 식욕을 높이는 소화제, 위 기능 강화제를 투여해 임상 증상이 악화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간 기능 강화제, 광물질 제제, 비타민제 등의 보조 요법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혈액 검사는 수의사 진료로 받을 수 있으며, 특히 케톤체와 포도당은 간이진단장비(키트)를 이용해 빠른 검사가 가능하다.


아울러 사료 관리를 통해서도 케톤증을 예방할 수 있다. 젖이 나지 않는 시기에는 질 좋은 풀사료 위주로 주, 분만 예정 3주 전부터는 곡물사료 양을 서서히 늘리며 분만 뒤에는 에너지 섭취를 높이도록 사료를 충분히 준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