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평양공동선언, 사실상의 ‘종전선언’에 한겨레가 감동하고 세계가 들썩였다. 지난 4월 27일 판문점선언으로 남과 북은 “더 이상 전쟁은 없다”고 단언했다. 그리고 마침내 9월, 가을 문턱에서 역사적인 평양공동선언이 이뤄졌다.
이번 공동선언에는 판문점선언의 철저한 이행을 위한 실천적 대책들이 담겼다. 가장 중요한 합의는 ‘핵과 전쟁이 없는 한반도’를 전제로 군사적 적대관계를 끝내고 전쟁위험을 제거하자는 것이다. 인도적 협력과 민족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실질 대책은 물론 다양한 분야의 협력과 교류를 추진하기로 합의한 것도 진전한 대목이다.


평양공동선언을 살펴보면 그 담대함에 놀랄 만하다. 북측은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영구적으로 폐기하고, 6?12 북미 공동성명 전후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와 같은 추가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했다. 남북군사공동위원회 가동을 통해 이행합의서를 준수하고 무력충돌 방지를 위한 ‘상시적 소통’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연내 동해선과 서해선 철도 및 도로 연결 착공식,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사업의 정상화, 서해경제공동특구와 동해관광공동특구 조성 협의도 눈에 띈다. 자연생태계 복원을 위한 환경협력과 산림분야 협력, 방역 및 보건?의료분야 협력, 이산가족 상설면회소의 조속한 개소 등 인도적 협력 강화, 10월 중 평양예술단의 서울 공연, 2032년 하계올림픽의 남북공동개최 유치 협력 등 다양한 분야 교류와 협력 방안이 합의됐다.


한반도 평화가 성큼 다가온 듯 반갑다. 항간에는 ‘한가위 민족선물’이라는 말도 나온다. 북측 15만 군중 앞에서 ‘오천 년을 함께 살았고 칠십 년을 헤어져 살고 있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은 심금을 울렸다. 그럼에도 못내 아쉽다. 다 해소하지 못한 갈증, 한때 유행한 말로 ‘2프로’ 부족하다. 그 2퍼센트가 바로 농업협력이다. 농업협력이야말로 한반도 화해와 평화의 마중물이자 완결의 마지막 퍼즐이다.


먹을거리 해결을 토대로 번영을 구가할 수 있음을 남북 한민족은 너무도 잘 알고 있지 않은가. 미국 주도의 국제연합이 대북제제를 해제하지 않는 한 경제협력은 쉽지 않다는 것은 사실에 가깝지만 핑계에 더 가깝다. 이번 남측 대표단에 ‘농업’이 끼지 못한 일은 못내 고약하다. 자, 이제 실제 남북협력에서도 농업이 빠지는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