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액비화 활용은 한계…바이오가스로 활용 다양화 필요

축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가축분뇨 처리 문제가 시급하며, 이에 대한 해법으로 가축분뇨를 활용한 재생에너지 개발과 활용방안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


지난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정인화 국회의원 주최로 ‘축산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주제 발표한 안희권 충남대 교수는 “가축분뇨는 지난 2016년 기준 연간 4699만톤이 발생했지만, 이를 에너지화한 비율은 1%이하로 매우 적었다”며 “현재 농식품부에서는 가축분뇨 에너지화 시설을 5개소 가동하고 있으며, 공동자원화 바이오 가스 연계사업을 1개소 운영하고 있으나 수익성이 낮아 확산·보급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에 안 교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를 상향 조정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해 가축분뇨가 에너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에서 김완주 논산계룡축협 자연순환농업센터 소장은 “우리 센터에서는 24년간 축산분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화처리, 퇴·액비화, 바이오가스까지 다양하게 시도해봤는데, 가장 이상적인 것은 바이오가스 시설을 운영하는 것이었다”며 “가스는 음식물쓰레기나 농업부산물, 축산부산물 등을 처리하는 과정 중에 잉여적으로 나오는데, 이것을 발전에 활용, 전기를 생산해 판매할 수 있으며, 이 바이오가스 사업을 통해 악취, 수질오염도 해결되고 일자리 창출도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경용 당진낙협 조합장은 “공동자원화시설에 가축분뇨가 들어오면 이것을 유기질비료로 만드는데, 비료를 많이 살포하는 농번기철이 지나면 유기질비료가 전혀 나가지 않아 창고에 쌓아둘 수밖에 없다”며 “그런데 가축분뇨는 시기와 상관없이 들어오고, 이를 비료로 계속 만들어야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며, 우분을 고체연료로 만들어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전했다.


가축분뇨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재생에너지로 활용하기 위해선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명규 상지대 교수(축산환경학회장)는 “미국의 경우 축산농가들이 가축분뇨 관리 프로그램, 양분관리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으며, 잉여 양분을 관리하기 위한 양분관리 은행제도도 있다”면서 “특히 유럽은 분뇨은행을 통해 분뇨 발생부터 이용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런 시스템이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 교수는 “우리나라의 축산농가들이 토지를 개별적으로 갖고 있지 않아 독립적으로 가축분뇨를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며 “농식품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들이 통합적인 접근을 통해 통합시스템을 만들어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