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김명숙 박사

 

유기 질비료는 유박류 등의 원료만을 부숙 과정 없이 제조하는 비료로서 부숙 유기질비료에 비해 양분 함량이 높고 속효성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일부 농가에서는 무기질비료 대신 사용하고 있다.


유기질비료 사용 시 장점은 부숙 유기질비료에 비해 비료영양분의 함량이 높아 비료를 살포하는 노동력과 시간을 1/3로 단축할 수 있고, 악취가 적으며, 질소, 인산, 칼리와 같은 비료성분이 포장지에 표시되어 있어서 농경지 양분관리에 도움이 많이 된다는 것이다.

 

단점으로는 부숙 유기질비료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비료 영양분의 지속 기간이 2~3달 로 짧으며, 과다한 양(600kg/200평)을 투입할 경우에 유기질비료 분해과정 중 가스가 발생하여 작물생육에 장해를 생긴다는 점이다.

그래서 유기질비료를 농경지에 사용할 때 가스 등의 피해발생을 예방하고자 작물을 정식하기 약 2주~1달 전에 투입 후 경운하여 토양과 골고루 섞어 가스가 미리 토양에서 빠져나가도록 한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유기질비료는 단일원료로 제조된 것보다는 2종 이상의 원료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유박과 혼합유기질비료, 유기복합 등 3종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비료공정규격에서 유기질비료의 비료성분 함량은 질소, 인산, 칼리 전량 중 2종 이상의 합계량이 최소 7% 이상이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최근 3년간(2015년~2017년) 유통된 유기질비료 367점에 대해 비료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질소, 총인산, 총칼리 함량이 각각 4.9%, 2.8%, 1.7%로 나타났다. 이것을 2009년부터 2010년 기간에 유통한 유기질비료 93점에 대해 분석한 수치(총질소 5.0%, 총인산 2.9%, 총칼리 1.4%)와 비교했을 때 총질소와 총인산 함량은 유사하였으나, 총칼리는 1.3배 정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농경지에 비료를 투입할 때는 작물이 요구하는 질소-인산-칼리의 함량 비율을 맞춰야 한다. 기존의 칼리 함량이 낮은 유기질비료를 농경지에 투입할 경우, 별도의 칼리질 비료를 더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칼리 성분을 추가적으로 넣지 않았을 때 토양의 양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물이 잘 자라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생산되는 유기질비료 제품들이 함유한 칼리 성분은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작물별 비료사용처방에서 작물별로 필요한 칼리의 추천함량 비율보다 17~71%까지 적게 나타났다.

비료사용처방에서 작물별 질소-인산-칼리 성분들 간에 상대적인 비율을 환산할 경우, 칼리 성분 추천비율은 벼를 재배할 경우에 2.6%, 토마토, 방울토마토, 오이, 멜론, 수박, 호박, 가지와 같은 과채류를 재배할 경우에 2.9%, 근채류인 당근과 열무 재배할 때 2.0%, 엽채류인 상추와 시금치, 부추를 재배할 경우에 2.4~5.6%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면 유기질비료로 생산되는 제품의 총칼리 성분 비율을 기존의 비율인 평균 1%에서 2.0~5.6%까지 높일 필요가 있겠다.


유기질비료의 총칼리 함량을 작물의 비료성분 요구량에 맞게 조절하여 제품을 생산하면, 다른 비료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유기질비료만으로 비료 영양 성분을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칼륨의 비료성분을 적절하게 투입함으로써 토양의 양분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으며, 작물도 건강하게 잘 자랄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작물에 필요한 영양분 비율에 맞도록 유기질비료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총질소-총인산-총칼리 성분 비율 조절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