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통일한반도 ‘신 중심 12대 전략사업’ 제시

종자개량 등 남북농업협력 위한 시스템 구축 제안


 

남북평화협력시대에 대비해 경기북부지역이 철도, 도로 등이 지나가는 단순한 ‘통과지역’에 머물 가능성이 있는 만큼 경기도 차원의 전략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1일 ‘남북평화협력시대와 경기도의 역할’ 보고서를 내 남북평화협력시대가 본격화할 경우 한국과 국제사회의 투자가 북한지역에 집중돼 경기북부는 경원선, 경의선 등 철도와 도로가 지나는 단순 통과지역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북부가 미래 통일 한반도의 중심적 위상을 회복하지 못한 채 수도권의 변두리 또는 남북경협 신개발 루트에서 소외된 지역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경기연구원은 이에 따라 경기북부가 통일 한반도에서 서울과 평양을 잇는 핵심연결지대이자 물자와 인력이 몰려드는 ‘신 중심(New Center)’이 되기 위한 12대 전략사업을 제시했다.


먼저 남북 분단을 전제로 ‘접경지역’의 발전을 구상한 기존 지역개발계획 대신 '통일시대 중핵지대'라는 비전 아래 경기북부의 신 종합발전계획을 수립을 제시했다.


이어 경기도지사의 직접 지휘를 받는 ‘남북교류협력 및 통일기반 조성 기획단’ 설치를 제안했고, 접경지역에 통일경제특구를 유치한 뒤 개성공단과 연계, 대규모 국제산업단지인 한반도 국제협력지대를 조성하는 방안도 내놨다.


여기에다 남북 농업협력 시스템 구축과 북한 지역개발 참여, 경기도와 황해북도 간에 농업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고 경기도 농업협력 및 지역개발 사업을 북한의 여러 지역으로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또 북한의 식량난 해소와 농업 발전을 위해 경기도 농업기술원과 황해북도 농업과학원 간의 협력시스템을 구축하고 종자 및 품종 개량, 농법 전수, 토지경작, 출하 및 판매 등의 제 분야에서 남북 협력 추진도 담았다.


앞서 경기도는 북한 당곡리 농촌 현대화 사업을 한 차원 확대한 북한 지역단위종합개발 지원 사업을 기획하고, 이를 경기도와 인접한 황해북도와 개성지역 북한 마을들에 순차적으로 적용시키면서 확산하고 있다.


이밖에도 경기연구원은 ▲한강하구 남북공동 활용 ▲임진강 수계 공동 관리 ▲남북 농업협력 시스템 구축'▲남북접경지역 공동 방역·방제 ▲비무장지대 생태평화안보 관광지구 조성 ▲북한 내 옛 경기도 지역과 교류협력사업 ▲개성-경기북부관광 연계 등 사회문화 및 인적교류 ▲경원선 복원 추진 ▲서해평화협력 특별지대사업 참여 등을 제시했다.


김동성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2000년대 이후 남북교류협력을 선도해 온 지자체”라며 “경기북부지역이 통일 한반도의 중심이 되기 위해 남북교류협력에 따른 상황별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중앙정부와 파트너십을 형성해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