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만 지어서는 최저 임금도 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2017년 농어가 경제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농가의 평균 소득은 3824만원으로 전년보다 약간 늘어났지만 순수 농업소득은 1005만원으로 지난해보다 줄었다. 결국, 농업인들은 순수 본업인 농업만으로는 최저임금도 벌지 못하고 있으며, 20년 전 농업소득 (1020만원) 보다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농업소득이 이같이 줄고 있는 것은 영농자재비를 비롯한 비료, 농약, 등 농자재값 상승에 따른 영향도 크지만, 농업인의 고령화에 따른 인건비 상승도 요인이 되고 있다.

반면, 농업 이외의 소득은 1627만원과 보조금 성격의 이전소득이 전년보다 6.7% 늘어나면서 우리의 농가소득을 견인하고 있다. 농업소득 1005만원은 20년전 농업소득보다 뒷걸음질 한 것으로 농업전망을 내놓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신들이 내놓은 전망치보다 크게 낮아 당황해 하고 있다. 2018년 농업전망에서 농경연은 2017년 농업소득은 2016년에 비해 10.3% 증가한 1110만 1000원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2017년 농업소득은 증가 하기는 커녕 오히려 뒷걸음질하면서 농업소득은 20년간 1000만 원대에 머물고 있다.

농업소득이 이처럼 줄고 있는 것은 시장개방에 따른 수입농산물 증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지만, 농산물 물가가 다른 물가의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년 전 짜장면 한 그릇 가격은 1500원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한 그릇이 5천원을 넘고 있다. 이처럼, 물가 상승률은 감안하면 지금의 농업소득은 20년 전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통계에서 알 수 있듯 농가소득은 정부의 지원 없이는 농사만으로는 지속가능한 농업을 유지 할 수도, 소득을 올릴 수가 없다. 지금 농어촌에 버팀목 역할을 하는 것은 농업 외 소득인 이전소득의 비중이 크다. 이전소득은 공적 이전소득과 국민연금 기초연금으로, 지난 2013년 584만원이었지만, 지난해는 890만원으로 그 비중이 크게 늘었다. 고령화가 심각한 농촌은 지금 상당수가 저소득층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정부가 복지정책을 강화하고 겸업을 통한 다양한 일자리 창출을 통해 농어촌에 안정적인 소득기반 유지를 위해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