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차리기 겁나네…감자값 77% 급등’ ‘14년만에 최고 상승 감자값 금값’ ‘감자값 폭등…물가상승률 6개월만에 최대’.

최근 일간지 경제면 톱기사 제목들이다. 올봄 감자 작황은 초봄까지 이어진 강추위로 제주, 남원, 김제 지역등 재배지 대부분이 흉작을 기록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전년 동월대비 76.9% 값이 높아졌다. 본래 하지감자 재고량이 소진되는 3월말쯤 겨울재배감자 수확물량이 쏟아지면서 감자값은 안정세를 이어간다. 이번같이 흉작이 발생하면 저장물량과 수확물량의 교체기가 끊겨 가격상승으로 이어지는게 감자시장의 특징이다. 또 다른 특징은 이때 가격이 폭등하더라도 5월중순부터 봄재배감자 수확기가 시작되기 때문에, ‘반짝 폭등’에 그치게 된다.

그런데 통계청 소비자물가가 발표되자, 기획재정부는 기다렸다는듯이 물가상승 주범으로 농산물을 지목했고, 수급·가격안정대책을 즉시 발표했다. 물론 언론들도 덩달아 ‘엄청난 감자값’에 대해 선정성을 듬뿍 얹어 경쟁하듯이 보도에 나섰다. 한달만 감자를 안먹으면 그만인 소비자들에게 ‘당신의 경제적 부담, 감자가 원인’이란 내용을 인지시켰다.

말그대로 한달만 참으면 될 일을, 기획재정부는 TRQ(저율관세할당량) 물량 4천400톤을 5월말까지 조기 수입해 풀겠다고 발빠르게 발표했다. 발표는 기재부가 했지만, 담당부처는 농식품부다. 이달 중순부터 한껏 수확해서 가정경제에 보탬이 될까 하고 기대하고 있는 감자농가들은 수입산과 싸워야 한다. 방출물량이 늘어나면서 가격폭락도 예측되는 상황인 것이다. 농가를 보호하라고 세금 걷어서 월급주고 있는 농식품부가 벌인 일이다.

반면 가격폭락으로 맥 못추고 밭 갈어엎고 있는 양파농가나, 이미 바닥이 예상되는 마늘농가에 대해선 소극적인 수매대책만 나왔다. 오히려 정부는 생산비도 못건지는 농산물값이 안정세로 보이는지 한숨 돌리는 표정이다. 기재부는 ‘채소가격안정제 확대 등 농산물 수급관리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라며 농산물 가격을 더욱 옥죄는 주문만 내놓고 있다.
소비자의 지갑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 이동통신료, 교통비, 커피값, 음식값은 못잡고 농산물만 후려치고 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