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기계 등 융복합 첨단농업이 세계 농업 주도

▲ 청년일자리 정책토론회에 참석한 내빈들의 기념촬영 모습.
청년농업인들이 농산촌에서 일자리를 찾고, 정착을 하는데 4차산업혁명 등의 디지털산업이 기회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 자유한국당 홍문표 의원 여야의원들과 한국청년농업인연합회, 농촌진흥청은 최근 국회에서  ‘청년 일자리, 청년농업인이 함께 만들어가겠습니다’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먼저 박승철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총장은 4차산업 혁명의 혁신기술이 한국 농업 농촌에 이식이 가능한지를 살펴봐야한다고 주장했다.

박 총장은 “드론, 자율주행 농기계, 스마트 유통 시스템 등의 정착에는 정부와 농협 등의 의지가 있어야 한다”면서 “우리나라의 농축산임업 총생산 규모가 50조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농촌에서 청년들이 살 수 있는 큰 그림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거시적인 계획을 세워 농업을 수출 주도 형태, 200조 이상의 경제규모를 만들어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관응 디지털인재경영연구소 대표도 4차산업혁명 시대에 농업, 농촌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세계의 농업환경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면서 “미국과 벨기에 등에서는 의학, 기계, 전자 등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기술을 개발해 농업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런 변화가 새로운 청년 일자리 창출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청년농업인들의 현장 목소리도 전해졌다.

주정민 게으른농부영농조합법인 대표는 “일자리 창출에 대한 아이디어가 아무리 많아도 1차산업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정책이 받쳐주지 않으면 안된다”면서 “(전문가들은) 현장에서의 현실을 인식하고, 지적을 하되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농촌에 사람이 많다고 다 성공하는 것은 아니니 환상부터 버려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의성 전국청년농업인선정자연합회장도 “우리나라의 농가후계자확보율은 9.5%로 50%가 넘는 일본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면서 “청년농업인 실상에 대한 기대는 담당 기관, 부처에서만 정책을 실행하는 형태의 틀을 빨리 깨뜨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강동윤 농림축산식품부 경영인력과장은 “큰 틀에서 4차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청년농업인을 확보하는 것은 큰 과제”라면서 “2022년까지 청년농업인 1만명을 육성하고, 청년창업농 정착에도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상남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장은 “농촌진흥청과 시군농업기술센터에는 과학영농, 농기계 훈련장 등의 다양한 시설이 있는 만큼 청년농업인들은 이런 상황을 바탕으로 시행착오를 이겨내야 한다”면서 “청년들간의 품목별네트워크 구성과 활동 등을 통해 스스로 정보를 얻고, 실패율을 줄여야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